주민들 “고엽제·건설폐기물 매립 의혹”
캠프캐럴 고엽제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하남시 미군반환공여지 ‘캠프콜번’ 주변 주민들이 공여지 내에도 고엽제 매립이 의심되는 데다 건설폐기물 등이 다량 매립됐다며 환경오염기초조사 등을 촉구하고 나서, 파장이 일 전망이다.
5일 하남시와 캠프콜번 주변 주민들에 따르면 하남시 하산곡동 3통 일부 주민들은 지난 2007년 국방부에 반환된 하남시 하산곡동 142의 1일대 ‘캠프콜번’ 30만6천㎡ 공여구역내 건축폐기물 2천450㎡가 아무렇게나 매립됐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토양오염으로 판정된 지역은 전체 면적 중 33만2천여㎡에 이른다”며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이곳에서는 농사를 지을 수 없고 학교나 공원도 세워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주민들은 지난 1일과 2일 천현동 주민자치센터와 시청을 잇달아 방문, “고엽제 매립 의혹이 있는데다 건설폐기물이 다량 매립된 만큼 시가 국방부 등을 상대로 환경오염조사 후 폐기물 등을 정비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일 국방부 대외협력팀에 진상조사와 입장을 회신해 줄 것을 요구하는 협조 공문을 보냈다.
시는 협조공문을 통해 “(캠프 캐럴)고엽제 매립 파문 이후 미군반환공여지 캠프콜번에 대해서도 고엽제와 건설폐기물에 대한 주민 및 지역언론 등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며 “국방부의 명쾌한 입장을 회신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함께 시는 “부지 내 환경오염 정화사업으로 지표의 형상 및 수로가 많이 변경됐다”며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재해 발생이 우려되는 만큼 배수로 정비 등 재해예방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이 공여지 일대에는 중앙대 하남캠퍼스가 들어설 예정이나 수천억원에 이르는 재원조달 방법을 놓고 시와 중앙대 사이에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어 수년째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