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민간전문가·시민단체 등 빠져… 조사지점·절차 싸고 실효성 논란
인천보건硏 “토양오염 심한 곳 선정… 문제 없어”
부평 미군기지 ‘캠프 마켓’주변에 대한 고엽제 환경오염 조사가 국방부와 민간 전문가, 시민단체 등이 빠진 상태에서 이뤄지면서 조사의 실효성과 절차 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시와 부평구, 인천보건환경연구원 등은 지난 3~4일 캠프 마켓 주변 9곳에서 토양과 지하수 등에 대한 시료 채취작업을 진행했다.
이번 조사구역은 지난 2008년과 2009년 부평구·환경부의 기초조사 결과 석유계총탄화수소(TPH)와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등이 다량 검출된 토양 6곳과 지하수 3곳 등지에서 토양시료 12건(각각 500g)과 시료 3건(각각 20ℓ) 등을 채취, 30일 동안의 검사를 거쳐 다이옥신 검출 여부가 판명된다.
하지만 이날 조사에는 관련 중앙부처가 빠진데다 환경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이 조사절차와 조사지점 및 방법 등에 문제를 제기하며 참가하지 않으면서 ‘반쪽 조사’에 그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조사지점도 기존 중금속 및 유류폐기물 조사 결과 오염물질이 발견된 지점에서만 재조사가 진행돼 다이옥신 검출 여부조사에 적합하지 않은데다, 지하수 채취 역시 이미 이용하고 있는 지하수를 채취하는 등 물에 용해되지 않고 가라 앉는 다이옥신 조사방법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인천시민대책위원회는 이미 오염지역이 확산되거나 또다른 오염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만큼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 다이옥신은 물론 오염물질 전반에 대한 전수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이번 조사지점은 단순히 지난번 유류·중금속 검사지점으로 대표성을 신뢰하기 힘들다”며 “지금처럼 조사해 다이옥신이 나온다면 그야말로 운이 좋거나 인근 전체가 오염된 상황일뿐”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천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당장 다이옥신 논란이 일면서 지난 2008년과 지난 2009년 조사를 통해 토양 오염이 심한 지역을 대상으로 이뤄졌다”며 “조사방법에는 문제가 없고 하반기 주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민주당 인천시당, ‘부평 미군기지’ 인천시민대책위 참가
민주당 인천시당이 자체 특위 활동과는 별도로 ‘부평미군기지 맹독성폐기물 진상조사 인천시민대책위원회(대책위)’에 참가한다.
민주당 인천시당은 민주당 인천시당을 비롯해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등 각 정당 시당과 환경단체, 시민단체, 부평구 등이 참여하는 대책위가 구성돼 활동을 시작했다고 5일 밝혔다.
민주당 시당은 이미 지난달 31일 시당 차원으로 구성한 부평미군기지대책특위를 중심으로 대책위 구성원으로 참가, 시민·사회단체 및 정당들과의 유기적인 협력관계 속에서 공동으로 부평 미군기지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력할 계획이다. 중앙당 차원에서도 미군기지 환경오염문제를 다룰 특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민주당 시당 관계자는 “지역 정당들과 시민단체들과 함께 대책위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