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인허가 늦어져 시공사 선정 차질… 하반기도 ‘암울’
경기지역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해 지면서 건설사들의 사업수주 목표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건설사들이 입지가 양호한 경기지역을 주력시장으로 삼아 수주목표를 세웠지만, 사업 인허가가 늦어지면서 시공사 선정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이 올해 수주전략 사업지로 꼽은 경기지역 재건축·재개발 사업지 가운데 조합설립인가를 위해 진행 중인 동의서 걷기가 멈춰선 곳이 속출하면서 건설사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올해 3조원의 수주 목표를 잡은 A건설업체는 현재 수주실적이 목표대비 10%대 수준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재건축ㆍ재개발 사업과정에서 조합설립인가를 받으려면 토지 소유자의 동의서가 75% 이상 걷혀야 하는데, 목표치가 거의 임박한 상황에서 동의서 취합이 더 진행되지 않아 진퇴양난에 빠진 것이다.
하남 B재개발 사업은 현재 조합설립인가를 받으려고 토지 등 소유자들의 동의서를 걷고 있으나 현재 동의서 징구율은 50%로 저조한 상황이다.
구리 C재개발 추진단지는 정비업체와 설계업체 선정과 관련해 잡음이 일면서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처럼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지연되는 가운데 경기지역은 9월께나 재건축·재개발 물량이 나올 것으로 예상돼 도내 건설업계는 사업 물량난이 장기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도내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경기지역 도시정비 사업지 대부분이 사업을 반대하는 주민들이 동의서 징구를 거부하면서 시공사 선정이 지연되고 있다”며 “올 하반기에도 경기지역 물량가뭄으로 수주실적을 올리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