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기술혁신·시장확대 선도… 지속적 사업 필요”
조합 “대기업 170개 공장 보유, 위장계열사도 상당수”
레미콘을 생산하는 대·중소기업들이 레미콘 중소기업 적합품목 선정 여부를 놓고 갈등을 빚는 등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20일 도내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중소기업 적합품목으로 레미콘품목을 선정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반대하고 나서자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가 이에 반박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양측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먼저 전경련은 지난 15일 대기업이 레미콘 시장에 선(先) 진출해 산업의 기술혁신과 시장확대를 선도해 왔고 앞으로도 초고층ㆍ대형화 추세에 따라 기술경쟁력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대기업의 지속적인 사업 영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중소 레미콘 업체가 생산을 독점하기에는 레미콘 시장의 규모가 연간 6조7천억원으로 너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중소 레미콘 업체들의 모임인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가 즉각 발끈하고 나섰다.
연합회는 지난 16일 “대기업은 공급과잉의 원인이 정부의 중소기업 보호정책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오히려 대기업 11개 업체가 170여개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위장계열사, 대기업 임대공장 등의 형태로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운영하고 있는 공장이 상당수”라고 반박했다.
적합품목 선정 시 대기업의 연쇄도산 우려에 대해 “1개 공장당 대기업은 평균 22만㎥(2009년 자료 기준)를 생산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평균 10만9천㎥를 생산, 대기업이 공장 당 2배 이상 생산량이 많기 때문에 700여개 중소기업 전체의 도산 우려가 더 큰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연합회는 또 대기업 레미콘사가 중기청장을 상대로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도에서 레미콘품목을 제외하라고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올해 중소기업자 간 경쟁물품 공고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까지 들어와 관급입찰이 모두 취소되는 피해가 발생했다고 토로했다.
도내 한 중소 레미콘 업체 관계자는 “중소 레미콘 업체들은 시멘트제조사, 대기업 레미콘사, 대형건설업체의 틈바구니에서 기업 생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대기업의 불공정행위와 시장 확장이 중단되지 않은 만큼 레미콘이 중소기업 적합업종·품목에 선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