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옥신 오염 땐 복구 방법도 없다
미군기지 ‘캠프 캐럴’ 주변 지하수에서 다이옥신이 일부 검출된 가운데 지하수나 대기, 토양 오염에 대한 다이옥신 검출 기준도 없고 현존 기술로는 복구 방법조차 없는 것으로 드러나 공포감을 확산시키고 있다.
20일 파주, 동두천, 의정부시 등 경기지역 지자체에 따르면 동두천 H-220 헬리포트, 파주 DMZ(비무장지대) 3곳 등 도내 미반환 미군기지 28곳 주변의 지하수와 토양에 대한 다이옥신 오염 조사를 의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
또 도보건환경연구원은 210종의 다이옥신 동종체 중 1급 발암물질인 2, 3, 7, 8-TCDD를 비롯해 정량 검사가 가능한 다이옥신 17종에 대한 검사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같은 조사에도 불구하고 먹는 물에 대한 국내 다이옥신 검출 기준이 없어 미국 뉴욕주의 기준(2,3,7,8-TCDD 30pg/L)을 참고하고 있다. 또 다이옥신이 검출되더라도 현재의 기술로는 복구 방법도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다이옥신 공포가 커지는 만큼 전문기관은 물론 정부가 나서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의 기준치 마련과 오염치유 대책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국내 검출 기준도 없어
미군기지 주변 주민들
발암물질 불안감 증폭
이같은 분위기 속에 동두천 캠프 케이시와 캠프 호비를 통과해야 들어갈 수 있어 ‘육지의 섬’이라 불리는 동두천시 걸산동 주민들은 매일 다이옥신 등 발암물질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걸산동에 외지인이 들어가려면 통과증(패스)를 가진 주민이나 공무원 등과 함께 임시 패스를 발급받아 캠프 케이시를 통과해야 한다. 현재 걸산마을은 30여가구 100여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17일 미국법에 따라 시속 32㎞ 이하의 속도로 캠프 케이시 부대를 지나 도착한 마을은 길거리에서는 사람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오지 산골 마을에 온 느낌이었다.
마을 주민들은 상하수도가 들어오지 않으면서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었다.
1차 조사에서 다이옥신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주변 지하수 9곳 중 3곳에서 트리클로로에텔렌(TCE) 등 발암물질이 먹는 물 기준치를 초과한 부천 캠프 머서 인근 주민들도 다이옥신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주민들은 자신들의 발언으로 통행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말을 극도로 아꼈다.
주부 J씨(39)는 “자기 땅도 아닌데 미군이 유독물질을 매립한 것은 도덕적으로 용납할 수 없다”라며 “현존 기술로는 복구 방법도 없다는데 다이옥신이 검출되면 이사를 가야 하는 것인지 답답하기만 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고엽제 국민대책회의 관계자는 “고엽제 매립 증언이 나온지 한 달이 지났지만 정부나 미군 측의 움직임은 아무것도 달라진 게 없다”며 “국민들의 염려와 불신이 커지고 있는 만큼 미군이 정확한 정보를 먼저 공개해야 하고 한·미공동 조사를 통해 유해물질로 오염된 미군기지에 대한 현실적인 치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획취재부=한성대·최원재기자chwj74@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