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구제역 침출수 예측 빗나가
장마철을 앞두고 구제역 매몰지의 침출수 유출이 염려되는 가운데 경기도 내 침출수 추출량이 애초 추정치의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 추세이던 추출량은 이달 들어 다시 증가, 호우 피해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21일 도에 따르면 구제역(2천201곳)과 AI(74곳) 매몰지는 19개 시·군에 모두 2천275곳으로, 매몰된 소는 6만7천835마리, 돼지는 166만4천669마리다.
도는 당초 어미 소 100마리당 3t, 어미 돼지 1천마리당 4t으로 계산해 침출수가 7천600여t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지난 17일 현재 도내 구제역 매몰지에서 추출된 침출수는 추정치의 10%에 불과한 769t에 그쳤으며 AI 매몰지에서는 침출수가 거의 나오지 않았다.
지난 2월21일 추출작업을 시작한 가운데 월별 침출수 추출량은 2월 17t, 3월 435t, 4월 117t, 5월 102t 등이다. 3월 이후 감소세였던 추출량은 이달 들어 17일 동안 98t에 달해 5월 전체 추출량에 육박했다.
또 지역별 편차도 많아 매몰지가 가장 많은 이천시(396곳)의 경우 316t으로 매몰지별로 평균 0.8t 추출됐지만 파주시의 경우 237곳에서 27.0t이 나오는 데 그쳐 평균 0.1t이 추출됐다.
도 관계자는 “침출수 추정치는 미국 농무부 자료를 토대로 한 것인데 국내 사정에는 맞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며 “날씨가 더워지며 이달부터 매몰된 가축의 부패 진행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당초 침출수 추출 작업에 2~3개월 소요될 것으로 봤으나 최근 추세로 판단할 때 올 가을은 지나야 종료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동식기자 ds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