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특수 잡아라" 도내 건설사 '엑소더스?'

강원도에 7조2천억 투입 대규모 사업 ‘눈독’

 

사업자 등록지 옮기고 건설면허 확보 나서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되면서 올림픽 특수를 노리는 경기도내 건설업계의 강원도 진출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13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7일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된 뒤 강원도로 건설면허 등록지를 옮기거나 강원도내 건설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하려는 건설업체가 늘고 있다.

 

동계올림픽 최대 수혜업종인 건설업 분야의 관급 공사를 따내기 위해 강원도내 건설면허를 확보하려는 것이다.

 

2018년까지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일대에 투입되는 자금은 7조2천억원 규모로, 장기적인 건설경기 침체에 지친 도내 건설업체들로서는 매력적인 시장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전이 한창이던 지난 2007년 6월 1천11개까지 늘었던 강원도내 종합건설업체가 유치 실패 후 6개월만에 916개까지 줄어든 것을 보면 이번 동계올림픽 특수에 대한 관련업계의 기대감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고양시 A건설사는 최근 사업자 등록지를 강원도로 옮기기 위해 준비에 들어갔다. 이 업체는 발표 직후 국내 굴지의 대형건설사와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T/F팀을 발족시킨 것과 더불어 강원도내 건설면허를 확보해 관내 업체에 혜택이 주어지는 관급공사 시장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의정부 B건설사도 최근 강원도내 건설면허 사업자를 확보하기 위해 직원들을 강원도 현지에 파견한 상태다.

 

강원지역으로 건설면허를 옮기는 것보다 강원도내 유휴 건설면허 사업자를 확보하는 편이 외부업체라는 거부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전문건설업계의 강원도 진출 움직임도 속속 이어지고 있다.

 

성남의 C건설 등 도내 전문건설면허 업체 중 일부도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특수가 예상되는 강원도내 하도급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 건설면허 이전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물량이 급감한 도내 하도급 시장에서 출혈경쟁을 벌이는 것보다 강원도로 진출하는 편이 공사 수주면에서도 수월하기 때문이다.

 

도내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최근 강원도내 면허사업자를 확보하려는 건설업체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며 “도내 건설경기가 언제 회복될지 모르는 상황이라 시간이 지날수록 강원도내 건설면허 확보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