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엔 한약먹어도 소용없다?

더위에 몸 허해지기 쉬워  氣보충해줘야 보약, 여름철이 먹는게 가장 좋을 수도

한의원 진료실에서 여름이 되면 가끔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 “여름에 한약 먹어도 되나요? 여름에 보약 먹으면 땀으로 모두 다 빠지지 않나요?” 대부분 이런 속설을 한번쯤 들어봤을 겁니다. 그럼 상식적으로 생각해 봤을 때 보양식을 언제 먹어야 좋을까요? 삼계탕이나 보신탕은 주로 여름에 먹습니다. 왜냐하면 날씨가 더우면 기운이 많이 빠지기 때문이지요. 즉 땀을 통해서 우리 몸 속의 좋은 것들이 빠져 나가게 됩니다. 그래서 이것을 보충해주기 위해 보양식을 많이 먹게 되지요. 여름에는 우리 몸이 허(虛)해지기 쉽습니다. 동의보감에는 ‘하서의보의(夏暑宜補氣)’라고 하여 여름에는 기를 보충해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나옵니다. 따라서 보약은 여름철에 먹는 것이 가장 좋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한약이 땀으로 빠져나간다면 삼계탕이나 보신탕도 모두 땀으로 빠져나가겠지요. 또한 땀의 색깔이 한약의 색처럼 시커멓게 나오지도 않습니다. 한여름철 땀을 뻘뻘 흘리고 나서 기운이 바닥난 후, 가을철에 한약을 먹는다면 여름철 미리 먹는 것보다 2~3배 더 많이 드셔야 할지도 모릅니다. ‘오뉴월 감기는 개도 걸리지 않는다’는 속담은 여름에 그만큼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삼복을 잘 넘길 수 있다는 것을 해학적·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우리 몸이 허(虛)해지면, 즉 면역력이 약해지면 병이 잘 발생할 수가 있지만 몸이 튼튼하면 병이 발생할 수가 없겠지요. 예를 들어 폐가 튼튼하면 폐병이 올수가 없으나 폐가 약하면 감기에서부터 폐암까지도 올 수 있습니다. 병이라는 것은 전쟁과 같아서 내가 강하면 감히 누구도 침범할 수가 없습니다. 약을 쓰는 것은 장수가 전쟁에서 전술을 쓰는 것과 같습니다. 모든 전쟁에서 똑같은 전술을 쓴다면 어떨까요? 물론 모두 승리할 수 없을 겁니다. 약도 마찬가지로 본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써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보약이 모든 사람에게 맞지는 않습니다. 아무리 좋은 보약도 자기 몸에 맞지 않으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어떤 약이 몸에 좋더라” 는 말은 한번쯤 의심해 봐야 합니다. 또한 아무리 좋은 약도 오래 먹는다고 몸이 좋아지지는 않으니 적당한 양과 적당한 복용기간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여름철 몸은 아프고 기운은 떨어지는데 끙끙 앓지 마시고 적당한 치료를 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들은 여름철 더위에 쉽게 지칠 수 있으니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약자의 경우 특히 심장에 무리가 올 수 있으므로 심장병이 있는 분들은 한낮에 활동을 피해야 합니다. 어린이들의 경우 찬 것을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날 수 있고 가을철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여름철에 우리 몸의 겉 부분은 뜨거워지지만 속은 차가워지므로 차가운 것을 피하는 것이 건강해지는 비결입니다. 체온이 1℃ 내려가면 면역력이 30% 가까이 떨어지지만 1℃ 정도 올라가면 500~600%까지 증가하게 됩니다.

 

아이들의 경우 여름철에 비염이나 천식 아토피 등이 좋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습기가 많고 기온이 올라가 일시적으로 좋아질 수 있으나 건조하고 차가운 가을이나 겨울이 되면 다시 심해집니다. 이런 경우 미리 여름에 치료와 예방을 해두면 더욱 좋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직장인들은 에어컨으로 인해 소화불량, 설사, 권태감, 두통, 근육통, 기침 등이 나타나는 냉방병에 걸리기 쉬우므로 온도 차이에 주의를 해야 하며 열대야로 인해 잠을 설치게 되는 경우도 많아 피곤해질 수 있으니 각별히 신경써야겠습니다. 문의 (031)377-7275

 

김경헌  생활속 한방상식 오산시한의사회장 백산한의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