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硏 발표 ‘2010 주거실태조사’ 결과
주택시장 침체로 월세거주자 20% 넘어
수도권에 최초로 내집을 마련하려면 9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2010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주가 된 이후 수도권에 첫 주택을 구입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9.01년으로, 전국에서 가장 오랜 기간이 소요됐다.
우리나라 평균은 8.48년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6년 8.07년, 2008년 8.31년으로 계속 길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수도권에서 첫 주택을 구입에 드는 시간도 2006년 7.90년, 2008년 8.96년과 비교하면 계속 늘어나고 있어 최근에 전세난을 반영했다.
또 전체 조사대상자의 83.65%가 내집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40대 미만에서는 79.88%에 그친 반면 40대는 80.32%, 50대는 85.12%, 60세 이상은 88.30%로 연령대별 격차가 뚜렷했다.
주택을 마련하는 방법으로는 기존 재고주택 구입보다 신규 주택 분양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자가주택 보유자 중 기존 재고주택을 사들인 가구는 2008년 54.54%에서 지난해 51.84%로 줄었지만 신규 분양을 받은 가구는 2008년 25.43%에서 지난해 28.10%로 늘어난 것이다.
이와 함께 사람들이 다른 집으로 이사할 때는 주택 가격(14.02%), 주택 규모(12.85%), 교통여건(11.72%), 교육여건(10.16%)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시장의 침체로 거주형태 중 월세 거주가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어선 반면 자가 거주(54.25%)와 전세 거주(21.66%)는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주택시장이 안정되면서 가격이 오르지 않자 집주인들이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