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개발지구 ‘수해 속수무책’

신도시·골드밸리 사업 등으로 저류지 역할 농경지 잠식… 방재시설 확충 시급

산업단지 및 신도시 개발 등 대단위 택지개발 때 ‘지구 내 저류지 확보’로 재해영향평가를 처리하는 현 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5일 김포시에 따르면 한강하구와 서해 조수간만의 영향을 받는 김포지역은 하절기 집중호우와 한강상류 지역의 강우로 한강 수위가 상승, 하천배수에 어려움을 겪는 등 상습적으로 수해를 입고 있다.

 

이로 인해 시는 1995년부터 2000년까지 110억여원의 재산피해를 입어 1998년부터 2000년까지 355억원을 투입, 계양천 유역분리를 위한 방수로 건설과 향산1·2펌프장(33.1㎥/sec), 걸포펌프장(3㎥/sec), 봉성1호펌프장(3㎥/sec), 향산 배수문, 계양배수문, 석탄4호배수문 등 방재시설을 확충했다.

 

그러나 2006년부터 본격화된 걸포지구 택지개발과 김포한강·인천 검단신도시, 김포골드밸리 등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여름철 집중호우 때 저류지 역할을 하던 농경지가 잠식, 홍수위 상승과 빠른 유속으로 펌프장 및 배수문 등 방재시설 추가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LH, 인천시, 경기도시공사 등 개발 원인자에게 사업비 분담을 요구하고 있으나 개발에 따른 재해영향평가에서 ‘개발지구 내 저류지 확보를 통한 재해저감 계획’ 승인을 내세워 사업비 분담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특히 시는 2009년 한국수자원학회에 의뢰한 ‘대규모 택지개발이 하천하구에 미치는 영향’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계양천, 나진포천 유역의 재해예방 사업비 2천517억원의 60%인 1천515억원을 요구했으나 이들 개발 원인자는 원론적인 답변으로 일관하고 있다.

 

시는 여름철 수해방지를 위해 운양재해위험지구정비 등 13개 사업에 모두 3천786억원의 예산이 필요하지만 개발원인자 분담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예산확보의 어려움으로 사업기간이 장기간 소요돼 사업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개발지구 내 저류지는 초기 강우에는 대처할 수 있으나 지구온난화에 따른 집중호우시 지구 내 저류수량을 하천으로 방류함에 따라 미정비된 하천에는 홍수량 증가 및 펌프장 용량 부족으로 무방비로 수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