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화장장 입지선정 ‘막판 진통’

시의회 의장 “신중하게 추진해야” 포천발전聯 “강행땐 주민소환 시장 퇴진운동”

설립위 “주민 불편 해소·경제 활성화 조속 추진을”

포천시에서 추진 중인 광역 화장장의 최종협상대상지 결정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막바지 진통을 겪고 있다.

 

23일 포천시와 시민들에 따르면 최종 결정을 앞두고 그 후보지가 영북면 야미1리와 영중면 성동5리의 2개소로 압축돼 타당성 용역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포천시의회 김종천 의장이 23일 현 추진 방향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천명하고 나섰다.

 

김 의장은 “압축된 후보지역 두 곳 모두 포천의 중심축인 43번 국도를 통과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최근 화장시설 설립을 추진하던 도내 H시의 경우 5천억여원의 인센티브와 그린벨트의 해제 등을 약속받고도 이루지 못했는데 우리 시는 아무것도 정해진 게 없다”며 “좀 더 시간 여유를 갖고 신중하게 실리를 위한 다양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이흥구 포천발전연합 대표도 성명을 내고 “화장장이 가지는 장례문화 내에서의 가치, 시설의 필수성 등을 고려할 때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전제한 뒤 “포천시의 화장장 설치는 7개 시를 위한 대규모일 필요가 없으며, 포천시의 수요량을 따지면 그저 3~4기면 충분하고. 현재 사업계획은 무리하게 큰 규모로, 후보지역도 상식적으로 적당한 위치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어 “사업 포기를 촉구하며 사업을 계속할 시에는 주민 소환제를 통해 서장원 시장의 퇴진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진통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권대남 광역 화장장설립위원장은 “시설의 주목적은 시민들이 장례시설이 없어 타 지역으로 원정을 가며, 시간 낭비와 경비의 과중한 부담을 해왔던 만큼 장례를 치르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기위한 것이며, 시설을 친환경적인 소득증대시설로 건립, 지역발전의 거점시설로 만들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뜻이 있는 것이므로 조속히 추진되어야 한다”면서 “정치인들이 포퓰리즘에 휩쓸려 무책임하게 하는 것은 지역의 발전과 화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일침을 가했다.

 

백영현 한탄강관광지원과장은 “마무리 중인 용역을 통해 관청에서 판단할 일은 어느 정도 가늠하고 있으며 수일 내로 나올 용역결과를 토대로 이뤄질 설립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최종협상대상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히고 “다음 달부터는 선정된 대상지역과의 구체적인 협상이 진행돼 인센티브 규모 등 현안이 다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포천=안재권기자 aj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