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역학조사 능력 없어 市 “주민 건강검진은 실시”
장수마을로 유명한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견달마을에 암 환자가 잇따라 발생해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 가운데(본보 22일자 1면) 고양시가 원인 규명에 난색을 표출하면서 주민들이 마을을 떠날 수도, 계속 거주할 수도 없는 답답한 심경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면서 원인규명을 위해 상급기관이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23일 시에 따르면 시는 본보 보도 이후 추석 명절 전까지 견달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추가 암 환자가 있는지에 대한 건강검진을 실시할 계획이며 견달마을 및 시 주변 지역의 암 환자 빈도를 비교 조사하기로 했다.
그러나 시 자체적으로 암 발생에 대한 역학관계를 조사할 능력이 없을 뿐 아니라 정확한 근거없이 특정 기업에 대해 대기 측정을 실시할 경우, 해당 기업과의 법적 소송이 불가피해 구체적인 원인 규명 작업에는 난색을 표출하고 있다.
또 견달마을 주변 기업들은 모두 매년 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오염도 측정에서 ‘이상없다’는 결과를 받은 바 있어 추가적인 조사가 어려운 실정이며 조사대상과 범위에 대한 기준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정밀 조사를 위해 민간 연구기관에 환경오염도 측정을 의뢰하기 위해선 수억원의 예산이 필요하지만 시는 예산을 수립할 근거도 미약한 실정이며 민간 연구기관이 조사를 한다고 하더라고 환경오염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규명해내기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시 관계자는 “시 자체적으로는 역학조사를 할 능력이 없고 타 기관에 의뢰하기 위해선 예산이 많이 들지만 예산 수립 근거가 없다”며 “우선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다른 지역에 비해 견달마을이 암 발생 빈도가 높은지 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견달마을 주민 이모씨는 “주민들에게 비싼 건강검진을 해준다고는 하지만 원인을 찾아내지 못하면 아무 소용 없는 것 아니냐”면서도 “시에서 그나마 조사를 실시한다고 하니 일단 결과를 지켜보고 그 결과에 따른 향후 대책을 주민들과 논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나 정부 차원의 조사 필요성이 제기됐다.
견달마을 사태에 대해 이정임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정책연구위원은 “이번 사건같은 경우, 민간시설에 대해 검사를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환경기준 초과 여부는 확인할 수 있겠지만 인과관계를 따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보건환경연구원이 직접 조사에 나서는 등 경기도 및 정부기관의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제언했다. 이호준·박성훈기자 hoju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