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착오법, 주입식의 2.5배 학습효과
뇌는 나이가 들수록 실수로부터 더 잘 배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나이가 든 사람일수록 정답을 바로 알려주는 것이 인지 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된다는 기존 연구와 상반되는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캐나다 로트먼 연구소(Rotman Research Institute)는 나이에 따라 뇌가어떤 과정을 통해 올바른 정답을 찾아가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각각 ‘시행착오학습(trial and error learning)’ 과 ‘착오 없는 학습(Errorlesslearning)’으로 불리는 두 학습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시행착오학습이란 정답을 찾기 전에 다양한 오류를 경험하도록 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동물을 미로에 가둔 뒤 아무런 안내를 하지 않으면 이 동물은 잘못된 길에숱하게 머리를 부딪치면서 오류를 극복하고 제대로 된 길을 찾아나간다. 이런 학습방법은 새롭게 무엇인가를 배우는 활동적인 뇌에 긍정적인 자극을 준다. 어린이들이퍼즐을 맞출 때에 엄마가 옆에서 “이렇게 해야지”하고 가르쳐주는 것보다 시행착오를거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퍼즐 맞추는 공간 능력을 기르는데 더 효과적인 것도이런 이유에서다.
반면 착오 없는 학습은 노인들이나 정신 지체자 등 뇌의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사람에게 많이 사용됐던 학습 방법이다. 뇌의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사람은 시행착오를겪도록 놔두면 오히려 이 착오가 정답을 찾아내는데 혼선을 준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에게는시행착오학습보다 정답에 보다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를 해 주는 착오 없는학습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왔다.
로트먼 연구소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평균 나이 20세와 70세 두 그룹을 대상으로시행착오학습과 착오 없는 학습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예를들어 정답이 ‘어금니’라면 시행착오학습을 위해서는 ‘이빨의 종류’라는 단어만힌트를 주고 정답을 풀도록 했고 착오 없는 학습을 위해서는 어금니라는 정답을 미리공개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 결과 젊은이나 노인 모두 착오 없는 학습에 비해 시행착오학습을 했을 때 정답을보다 잘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노인들은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시행착오학습을 했을 때 젊은이에 비해 2.5배나 높은 정답 이해도를 나타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노인의 인지 능력 치료를 위해서는 착오 없는 학습을 주로사용했지만 이런 치료법은 재고돼야 한다”며 “노인들은 젊은이에 비해 오류와 정답사이의 상관관계를 훨씬 더 잘 찾아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학술지 ‘심리학과 노화(Psychology and Aging)’에 실릴 예정이며미국 의학뉴스 사이트 메디컬뉴스투데이가 26일 보도했다.
[관련기사]이완배 기자 (blackhart@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