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일 인천경제통상진흥원장 “남동산단 구조고도화 송도와 연계해야”

“노후화된 남동국가산업단지의 구조 고도화를 위해선 송도국제도시와 연계, 상승효과를 얻어야 합니다.” 김충일 인천경제통상진흥원장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안으로 이처럼 강조했다.

 

김 원장은 최근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행정학을 전공한 김 원장은 연구 제목을 ‘클러스터 이론으로 본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부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송도국제도시)과 남동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로 인천경제통상진흥원이 위치한 남동국가산업단지에서 느낀 점을 학술적으로 연구, 논문에 고스란히 담았다.

 

김 원장은 “지식정보산업단지로 구성되는 송도국제도시와 인천 등지에서 전통적 제조업을 담당하고 있는 남동국가산업단지 내 기존 제조업들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연계 전략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에 착안했다”며 “논문으로 그동안 클러스터 형성과정에서 간과됐던 정부와 지자체 역할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인천의 대표적인 공업지역인 남동국가산업단지는 기업 5천여곳과 근로자 7만여명이 근무하면서 인천지역 산업단지 9곳의 생산과 수출 등에 있어 5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목재나 가구, 기계 등 부가가치 생산성이 낮은 제조업 중심으로 이뤄져 전체 산업의 경쟁력이 저하됐다.

 

남동국가산업단지가 변화시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김 원장은 직접 전문가와 기업 등을 방문, 고충과 발전전략 등을 듣고 이를 학술적으로 해석, 대안을 모색했다.

 

김 원장은 “남동국가산업단지는 기업간 네트워크 미형성, 연구 기술개발 등 혁신활동 저하, 지원기관 부족 등의 문제들이 노출되면서 구미나 아산 등 다른 공업지역들에 뒤쳐져 구조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다”며 “송도국제도시가 IT, BT, 금융, 대학, 연구소 등이 집적해 남동국가산업단지와 연계된다면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남동국가산업단지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많은 지원사업들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체감하는 바는 차이가 있었다.

 

기업인들은 정부의 지원제도에 대해 비교적 만족의사를 표명했지만, 지자체 지원제도는 예산이 상대적으로 적고 업종·사업별로 소규모로 지원돼 현장에서 느끼는 반응은 크지 않았다.

 

김 원장은 “지자체는 상대적으로 예산이 한정된만큼 도시계획과 사회복지, 교통시설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힘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