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개성공단 연계” 국회 대표연설 언급 파주시 “정부와 상당한 교감 있을 것” 기대감
접경지역인 파주시의 ‘통일경제특구’ 추진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파주시는 최근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개성공단과 파주일대를 연결하는 ‘통일경제특구’를 설치할 수 있다”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 지난 2005년부터 추진해 왔던 경제특구 조성에 큰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홍 대표는 지난 7일 국회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직접 개성공단을 방문해 입주업체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해결책을 찾아 볼 용의가 있다”면서 “개성공단이 활성화되면 개성공단과 파주시 일대를 연결하는 ‘통일경제특구’를 설치 할 수 있고, 강원도 철원과 고성지역도 ‘통일경제특구’ 설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당내에서 “대북정책도 상호주의 원칙을 유지하지만 유연한 상호주의로 전환해야한다”는 대북지원 패러다임을 강조하고 있는 홍 대표의 파주 일경제특구 설치발언은 정부측과 상당한 교감아래 나온 것이라는 것이 지배적이어서 추진에 힘을 얻고 있다.
더욱이 홍 대표의 파주통일경제특구 제안이 주목되는 이유는 현 임태희 청와대 비서실장이 야당 정책위 의장 재임 당시인 지난 2005년부터 파주시와 공동으로 추진했던 파주지역에 북한의 개성공단에 상응할 통일경제특구를 설치하는 획기적인 대북 프로젝트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당시 임 실장은 파주시와 공동으로 ‘남북경제특구’라는 이름으로 통일경제특구를 제안하면서 국회에서 수 차례 토론회를 가졌고, 관련 전문용역을 거쳐 김대중 정부의 17대 국회인 2006년 2월 여야의원 100명이 서명한 ‘통일경제특구법’ 제정안을 국회에 냈으나 폐기됐다.
당시 법안내용은 1단계로 파주 문산지역에 경제특구를 조성하고 2단계로 이를 개성과 연결해 중범위의 통일경제특구를 조성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8대 국회에 들어 집권 여당이된 한나라당은 지난 2008년 당정책위원회가 북한의 개혁·개방을 유도하고 국내 경제를 연착륙시킨다며 ‘통일경제특별구역 지정운영법’을 제안했으나 지지부진하다가 최근 홍대표의 발언으로 다시 탄력을 받게 됐다.
파주 문산을 중심으로 한 통일경제특구 재추진 소식이 알려지자 파주시는 “실현되면 파주는 분단질서 내에 통일도시가 건설되는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할 것이다”라며 환영과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이와 관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북아경제협력센터 한 관계자는 “통일경제특구는 개풍, 판문, 파주문산 3개권역의 286㎢에 제조업 중심의 복합산업단지, 국제관광 및 레저단지, 첨단산업 R&D센터 등을 조성할 수 도 있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yoseop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