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위협한 정전… 레이더도 꺼졌다

사태 당시 군 124곳 전기 끊겨…  김진표 “낙하산 인사가 기강 해이 불러”

9·15 정전대란 당시 경기도 32곳 등 군(軍) 124곳에서 전기공급이 끊겼고 이 중에는 전방관측소(GOP)나 해안 레이더 기지도 포함돼 국가 안보에 큰 허점을 드러냈다.

 

또 이같은 정전사태가 MB정권의 TK·MB맨·고려대 출신 등 낙하산 인사로 직원들의 사기 저하와 내부 기강 해이를 불러낸 근본원인으로 지적됐다.

 

18일 국회 국방위원회 신학용 의원(민·계양갑)이 군부터 제출받은 ‘정전 발생부대 현황’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가 15일 당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함에 따라 전국적으로 대규모 정전이 발생하면서 육군 116개소, 공군 8개소 등 모두 124곳에서 정전 사태가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강원이 58곳(육군 56곳, 공군 2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32곳), 전남(17곳), 경북(5곳), 대전(4곳), 서울·부산(3곳), 충북(2곳) 순이었다. 경기도는 32곳 중 육군이 29곳, 공군이 3곳에 달했다.

 

신 의원측이 각 군에 파악한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의 경우 A사단의 해안 소초들과 전남은 B사단의 해안 레이더 기지들이 30분 이상 각각 정전된 것으로 파악됐다.

 

또 서울 3곳 중에서는 수방사 사령부 일부 건물과 검문소 등이 30여분간 정전됐으며 피해가 집중된 강원도는 C사단 GOP와 해안 소초들, D사단 사령부 일부 건물 등에서 30여분간 전기공급이 끊겼다.

 

특히 공군 전투비행단의 일부 건물이 50여분간 정전되는 사태를 겪은 것으로 파악됐다.

 

신 의원은 “정전된 부대 특히 사령부 레이더 기지는 비상전력망으로라도 정전을 원천봉쇄해야 한다”며 “이번 정전 사태로 우리 군의 전방 초소 뿐 아니라 사령부 건물과 레이더 기지들까지 정전되면서 자칫 국가안보에 위협을 초래할 수 있었던 만큼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정전사태가 한전·전력거래소·발전회사 등 전력 관계 12개사의 기관장, 감사를 독차지 하고 있는 ‘후진국형 낙하산 인사’에서 비롯됐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수원 영통)가 지식경제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전의 상임이사진 7명 중 5명이 TK출신(4명)이거나 한나라당 출신(1명)이다.

 

특히 사장 내정자는 TK-고려대-현대건설로 이명박 대통령과 3중 인연으로 얽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력거래소 등 11개 자회사 경영진과 감사 22명 중 17명이 현대, 인수위, 한나라당, TK·고려대 출신이며 출신지(고교)를 기준으로 22명 중 8명이 TK출신이다. 서울·경기·인천 5명, PK와 호남·충청은 각 3명이다.

 

김 원내대표는 “인사가 만사인데, 이 정부 들어 ‘인사(人事)가 만사(萬事)가 아니라 망사(亡事)’가 돼 버렸다”며 “이명박 정부의 지역편중·낙하산인사가 전력공급라인 실무자들의 사기를 떨어뜨린 점이야말로 이번 9·15정전대란의 근본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강해인·김창학기자 ch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