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보상’ 한우농가 웃는데… 양돈농가 모돈값 치솟아 ‘고통’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경기도를 휩쓴 구제역 보상금이 지급 중인 가운데 돼지 모돈 가격은 두배 가까이 치솟은 반면 한우 송아지 가격은 30%가량 폭락, 양돈농가와 한우농가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21일 도에 따르면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도내 소는 6만7천119마리이며 돼지는 167만2천202마리다.
이에 대한 살처분 보상비는 ‘살처분 가축 등에 대한 보상금·장려금 지급요령’에 의해 매몰 당일 시세로 100% 지급하고 있으며 도내 축산 농가들의 총 보상비는 6천400억원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구제역 사태가 마무리된 지 6개월가량이 지난 현재 송아지 가격은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돼지 모돈의 가격은 두 배 가까이 치솟아 돼지 농가들은 보상금을 받아도 살처분한 돼지 두수 만큼 구입할 수 없는 실정이다.
지난해 연말 도내 평균 송아지 거래 가격 마리당 750만원 가량이었지만 현재 송아지 거래 가격은 550~650만원 사이인 반면 돼지의 경우 같은 시기 모돈 한 마리당 40~50만원이었던 것이 현재는 90만원까지 거래돼 당시 시세로 보상받을 경우 당시 돼지 두수의 60% 가량 밖에 복구할 수 없는 실정이다.
소의 경우 전국 한우의 4% 밖에 살처분 되지 않았고 구제역으로 출하되지 못했던 10여만마리가 한꺼번에 시장에 공급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돼지는 모돈이 대부분 살처분 돼 외국에서 수입까지 하고 있지만 소비는 줄지 않고 있어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돼지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어 재입식을 해야 하는 돼지 농가들이 고통을 겪고 있다”며 “한우 농가 역시 보상금이 남더라도 송아지를 키울 때 까지의 기간과 비용이 워낙 비싸 힘들어 하고 있지만 돼지 농가보다는 나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ju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