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이 곧바로 무릎 통증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림대대학교성심병원 류마티스내과 김현아 교수팀은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이 무릎 통증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퇴행성관절염과 무관하게 무릎 통증만으로도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 환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김 교수팀이 국제학술지인 'BMC근골격장애저널(BMC musculoskeletal Disorder)'과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근호에 잇따라 게재한 논문 내용에 따르면 50세 이상의 춘천지역 주민 504명을 대상으로 방사선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방사선검사를 통해 확인된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유병률은 37.3%(188명)였다. 하지만 이 중 통증이 동반된 경우는 24.2%(122명)에 그쳤다.
또 관절염 유무와 무관하게 무릎 통증이 있는 경우는 46.2%(233명)에 달했다.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중 방사선검사에서 퇴행성관절염이 관찰된 환자는 56%(131명)였다.
이는 관절염과 통증의 연관성이 크기는 하지만 모든 관절염 환자에게 통증이 동반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와 함께 이번 조사 결과 무릎 퇴행성관절염과 무릎 통증 모두 삶의 질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두 요인만 놓고 보면 무릎 통증이 무릎 퇴행성관절염보다 2배 가까이 신체적인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이 있는 환자의 신체기능은 정상군에 비해 18% 감소됐고, 무릎 통증은 이런 경우가 30%에 달했다. 윤철원 기자 yc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