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당황하는 사람이 성격 좋은 사람”

믿음 가고 관대하며 이타적…배우자에게도 충실

쉽게 당황하는 사람들이 실제로는 일반인에 비해 더 신실하고 관대하며 사랑을할 때도 일편단심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사람이 표시하는 당황하는 감정이 그 사람의품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이 연구 대상으로 삼은‘당황하는 감정’이란 수치심이나 사회에 대한 걱정 같은 것이 아닌 말 그대로의당황스러운 감정만을 뜻한다.

연구팀은 연구를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연구팀은 대학생 60명을대상으로 당황스러웠던 순간(예를 들어 단순히 뚱뚱한 여자를 임신했다고 오인한경우 등)에 대해 말을 하도록 한 뒤 이를 비디오테이프로 녹화를 했다. 또 연구팀은녹화된 참가자들의 모습을 기반으로 이들이 당황해한 정도를 등급별로 구분했다.

연구팀이 실시한 두 번째 실험은 미국의 유명 생활정보 사이트인 크레이그스리스트(Craigslist)를자주 이용하는 38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얼마나 자주 당황해하는지를 먼저 물어본 뒤 역시 이를 수치화해 등급을 나눴다.

이후 연구팀은 이들에게 경제학 연구에서 이타심과 협력심의 정도를 측정할 때사용하는 게임을 하도록 했다.

그 결과 당황하는 정도가 큰 사람일수록 게임에서 더 관대하고 이타적인 모습을나타냈다. 이런 이타적인 모습은 봉사나 기부를 더 많이 할 뿐 아니라 사업이나 사랑을할 때도 더 신뢰할 만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연구팀의 견해다.

연구팀은 “당황하는 감정은 믿을 만한 사람을 골라내는 중요한 선별 기준이 될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는 사회적으로 신뢰와 협동심을 높이는 데 중요한 단서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심리학회 학술지 ‘성격-사회심리학 저널(Journal of Personalityand Social Psychology)’ 최신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과일·채소 중 최고의 건강식품은 감자

가방 끈 긴 여성, 모유 오래 먹인다

소녀시대윤아 얼굴의 비밀

친절한 남자가 친절한 아빠 된다

부모의 짜증이 자녀 성격 바꾼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