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 지도 안전관리자 대신 알바생 배치… 대형사고 우려
최근 잇따르는 주유소 폭발사고로 경인지역 내 셀프주유소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셀프주유소의 안전대책은 미흡,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경기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올해 8월31일 기준 경인지역에서 셀프주유소를 운영하는 업소는 150여곳으로, 일반주유소에서 셀프주유소로의 변경을 신청하는 업소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수원 A셀프주유소의 경우 하루 평균 400대였던 고객의 수가 450대가량으로 늘어났으며, 고양의 B셀프주유소와 안산의 C셀프주유소 역시 300여대에서 20~30대 증가한 330여대씩 고객이 몰리고 있다.
그러나 셀프주유소의 화재 및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자칫 대형사고가 우려되고 있다.
현행 위험물안전관리법상 고객이 직접 주유를 하는 셀프주유소는 일반인들이 위험물(휘발유 등)을 다루는 것을 지켜보며 이를 지도할 수 있는 안전관리자가 항시 주유소 부지 내에 상주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셀프주유소 업자들은 일반 아르바이트생보다 70~80만원의 급여를 더 줘야 하는 안전관리자를 24시간 내내 상주시키면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아르바이트생만을 배치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3일 새벽 1시께 인천의 E셀프주유소는 사무실 문을 걸어잠근 채 직원 1명도 없이 영업을 지속했으며, 같은 날 새벽 6시께 수원의 F셀프주유소에는 70대 노인 아르바이트생 1명 만이 사무실을 지키고 있었다.
수원의 D셀프주유소 소장은 “셀프주유소는 일반주유소에 비해 인건비 부문에서 경쟁력이 있지만, 안전관리자를 2명 이상 교대로 상주시키려면 손해가 날 수 밖에 없다”며 “우리 주유소는 아예 지난해부터 24시간 영업을 포기했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인천소방안전본부가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셀프주유소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37곳이 적발됐으며 이 가운데 17건이 안전관리자의 부재였다.
경기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아직 셀프주유소에 대해 일반인들이 익숙하지 못한 상황에서 안전관리자의 부재는 크고 작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현재 안전관리자 상주 여부를 단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영국기자 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