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진 의원 “12% B형간염 보균자… 인도주의 차원에서 지속돼야”
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해 북한 7~16세 어린이 105만명에게 보내야 할 B형 간염백신이 통일부 반대에 부딪혀 집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 한나라당 신상진 의원(성남 중원)이 국제보건의료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대북사업 보건의료지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북한 어린이 105만8천500명을 대상으로 B형간염백신을 국가예산(9억원)으로 당초 지급할 예정이었으나, 통일부가 남북관계를 언급하며 백신공급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결핵예방사업(5억원) 및 기지원 사업(3억원) 등 온전히 인도주의적 차원의 보건의료지원마저 끊기고 있는 상태다. 재단은 통일부를 올해 4월부터 수차례 방문했고, 2주 간격으로 유선상 반출허가를 요청했으나 그 때마다 거절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통일부 교류협력국 담당자는 ‘정부의 5·24조치가 계속되고 있어 당장 지원 재개는 어렵지만, 남북관계가 완화되면 최우선적으로 허가를 해주겠다’고 재단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B형간염은 세계적으로 사망 순위 9위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감염 질환 중 하나라, 북한 전체 인구의 12%가 B형간염 보균자로 알려지고 있다.
신 의원은, “대북제제가 아무리 강경하다 하더라도, 북한 어린이들에게 제공할 B형간염 백신 사업은 온전히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지속되어야 한다”며 “세계구호단체와 국내 민간단체도 지원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마당에 정부가 노골적으로 대북의료지원을 중단한다는 것은 오히려 남북경색 사태를 더욱 오랫동안 끌고 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