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기상관측장비 75% 수집률 저하 ‘무용지물’
경기도내 기상관측장비 4대 중 3대는 수집률 저하로 인해 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정진섭 의원(한·광주)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기관별 관측자료 품질등급 결정자료’에 따르면 도내 기상관측장비 전체 278개 가운데 209개(75.2%)가 수집률 저하로 인해 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관측자료 품질등급은 97% 이상 1등급, 93% 이상 2등급, 90% 이상 3등급, 80% 이상 4등급 79% 이하 5등급 등 5단계로 나뉘며, 기준 수집률 80% 이상(4등급)일 경우에만 통계 값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를 기준으로 도내 기상관측장비를 등급별로 분류하면 1등급은 49개(17.6%)에 불과하고, 2등급 17개(6.1%), 3등급 3개(1.1%), 4등급은 없으며 5등급이 무려 209개(75.2%)로 집계됐다.
강원도(151개)·경상남도(290개)·경상북도(267개)·충청남도(180개)·전라남도(245개)·울산광역시(19개)의 경우는 기상관측장비 100%가 5등급 판정을 받아 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부산광역시·대전광역시는 100% 4등급 이상이며, 서울특별시(94.5%), 대구광역시(88.0%), 제주도(87.3%) 등도 4등급 이상 비율이 높았다.
정 의원은 지자체의 경우, 관측된 자료를 광역시·도로 전달해 그 자료를 기상청과 함께 공동활용시스템으로 활용하는데 기관별로 자료를 만드는 방식이 다르다 보니 수집이 안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 의원은 “통일된 시스템을 통해 기상장비가 각 기관별로 공동 활용돼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기상청이 주관부서로서 대책을 마련해 기상이변과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승재기자 ysj@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