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최근 3년간 광역 노선 협의 333건 중 77건만 동의
서울시가 경기지역 각 시·군에서 광역버스 노선연장 및 증차와 관련한 협의를 대부분 도심혼잡 등의 이유로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계원 의원(한·김포1)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광역버스 증차와 관련한 서울시와의 협의 내용’ 분석 자료에 따르면 도내 각 시·군이 지난 2009년부터 올 6월까지 최근 3년간 서울시와 협의한 광역버스 관련 협의 건수는 총 333건에 달했다.
서울시는 이 중 77건 23.1%만 동의했을 뿐 76.9%인 256건이 부동의 처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의 된 사유로는 도심혼잡이 전체 70%인 18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도로혼잡이 32건(12.5%), 노선경합 31건(12.1%), 교통혼잡 12건(4.7%) 등으로 노선경합을 제외하고는 경기지역 버스의 서울 진입에 따른 거부 이유가 도로혼잡이었다.
연도별로는 2009년 149건, 2010년 122건, 2011년 7월 현재 62건을 협의해 이 가운데 각각 30건(20%), 37건(30%), 10건(16%)만 동의했을 뿐, 나머지는 모두 부동의 처리됐다.
용인시는 서울행 버스의 증차 등 22건을 협의했지만, 도심혼잡을 이유로 모두 부동의 처리됐으며, 수원시도 41건을 협의했으나 39건이 같은 이유로 부동의 처리됐다.
또한, 22건을 협의한 고양시도 19건이 거부됐으며, 김포시도 30건 가운데 20건이 부동의로 증차 계획이 무산됐다.
특히 각 시·군이 부동의 처리에 불복해 국토해양부에 조정을 신청한 건수는 196건에 달하지만 시·군의 요구를 받아들인 경우는 8.2%인 16건에 불과, 국토부가 서울시 입장에서 조정결과는 내놓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이 의원은 설명했다.
이 의원은 “서울도심의 고통 혼잡만을 내세우는 서울시의 고압적 자세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협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총괄팀 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khj@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