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엄격해진 ‘집단대출’ 건설사 ‘아파트분양’ 초비상

가계대출 조건 강화 이후 중소건설사 어려움 가중

1천가구 규모의 아파트 분양을 추진하는 경기지역 A 중견건설사는 시중은행에 집단대출을 신청했다가 난감한 상황에 빠졌다.

 

은행에서 A건설사가 신청한 금액의 절반만 대출이 가능하다고 통보했기 때문이다.

 

집단대출은 분양 이후 입주까지 중도금과 잔금, 이주비 대출 형태로 분양업체가 은행에서 집단으로 받는 대출이다.

 

A건설사는 중도금 대출 등이 가능해야 아파트 분양이 가능한 상황에서 집단 대출이 막힐 경우 사실상 분양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B주택건설업체도 최근 250가구 규모의 아파트를 분양하기 위해 시중은행에 대출을 신청했다 거부당했다.

 

B건설사는 현재 아파트 건설공사 공정율이 60%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집단 대출을 받지 못하면서 결국 후분양을 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주택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집단 대출이 안될 경우 분양을 해도 미분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비율을 줄이라는 지시에 눈치보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금융권이 가계대출을 줄이기 위해 분양을 앞둔 아파트 집단대출까지 제한하고 있어 중소형 건설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는 11일 은행권이 가계대출 규정을 맞추기 위해 월별 대출한도를 맞추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건설사들이 신청하는 집단 대출까지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건설업계는 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로 시중은행과 함께 제2금융도 대출관리에 나서며 돈 나올 곳이 모두 막힌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금융권은 미분양 물량 해소를 목적으로 조건 없이 분양대금의 60%까지 대출을 해줬다. 하지만 계약자에게 소득증빙 서류를 요구하는 등 요건이 강화되며 미분양아파트에 대한 문의가 뚝 끊겼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대출조건이 강화되며 미분양 물량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며 “준공 후·대형평형 미분양 이른바 악성미분양에 대한 우려로 분양시기를 조율하려는 건설사들이 늘고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이달 초 가계대출을 재개했지만 만기일시상환 방식의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은 이달에도 어렵다”면서 “타 은행도 실수요 대출을 증빙서류로 제출하는 고객에게 대출을 해주는 등 대출심사가 엄격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