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이나 사별한 경우는 괜찮아
노총각들의 암 사망률이 기혼 남성에 비해 두 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노르웨이 오슬로 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결혼 생활이 암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1970~2007년 암으로 진단받은 44만 명의 의료 기록을 분석하는 방식으로진행됐다. 그 결과 결혼을 한 번도 한 적이 없는 노총각은 다른 남자들에 비해 폐암,유방암, 전립선암 등 가장 일반적인 암 13가지에 걸려 목숨을 잃을 확률이 두 배로나타났다. 결혼 경험이 있거나 현재 결혼 중인 사람은 이같은 위험이 18%였으나노총각은 35%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이같은 사망위험은 조금(29%) 높아지는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성의 암사망 위험은 17%, 노처녀의 암 사망위험은 22%로나타났다.
특히 이 중에서도 70대 미혼 남성의 암 사망 확률이 유난히 높게 조사됐다. 또이들의 암 사망률은 1970년대 이후 계속해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결혼 생활자들이 독신주의자보다 훨씬 건강하고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는 여러차례 있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독신 남성의 사망률은 기혼 남성에 비해 독신기간10년마다 3.4%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혼자 살더라도 그 이유가 이혼이나사별인 경우, 즉 최소한 한 번 이상 결혼을 한 경험이 있는 독신들의 사망률은 결혼생활자에 비해 약간 높은 정도에 그쳤다.
이 같은 현상은 결혼 생활자들이 독신자들에 비해 과음이나 흡연을 상대적으로덜 하고 정신적으로도 더 안정됐기 때문에 나타난다. 오슬로 대학교 연구팀은 “암사망률이 차이 나는 현상도 비슷한 이유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결혼 생활자들은 병원을 자주 찾는 덕에 암을 상대적으로 더 일찍 발견하게 된다”면서“또 배우자의 지원 등으로 병원 치료에도 더 잘 따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영국 암 연구소 사피아 다노비 박사는 “암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가장중요한 것은 암을 언제 발견하느냐 하는 것”이라면서 “결혼을 했건 안 했건 몸에이상이 있다고 느끼면 즉시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 14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