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자유치 난항땐 사업 부지 축소… 주민 반발 예고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이 수년 째 표류하고 있는 인천 용유·무의 문화·관광·레저 복합도시 조성 사업의 돌파구 마련을 위해 개발 시행자로 직접 나섰지만 여전히 현안이 산적해 난항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IFEZ는 용유·무의 사업의 기본협약 당사자이자 민간사업 시행자인 켐핀스키 컨소시엄이 약속했던 자본금 500억원 규모의 SPC 설립이 수년 째 지연되고, 시행자의 자격 조건이 대폭 강화돼 IFEZ가 직접 시행자로 나서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IFEZ는 또 자본금 63억원 규모의 SPC도 이달 중 출범시켜 외자유치 역할 업무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IFEZ는 개발사업 인허가 기관이 시행자로 나서고, 일선 투자유치 업무를 담당할 SPC도 출범하는 만큼 개발사업이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FEZ는 이번 사업의 최대 현안인 민간토지보상(총 3조4천억원)과 관련해 앞으로 1년간 중동과 중국 자본 2조원을 유치해 보상에 나설 방침이다.
그러나 당초 켐핀스키 컨소시엄 SPC 참여를 준비했던 20여개 기업 가운데 켐핀스키, 대우건설, 대한항공, C&S자산 등 4개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입들이 조기 추진 및 사업성 불투명 등으로 참여를 포기한데다 당초 100억원 출자 예정이었던 주도 기업 켐핀스키도 23억여원만 납입하는데 그쳤다.
또 현재 세계와 인천경제자유구역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감안할 때 1년 내 2조원 규모의 외자유치 성사 가능성이 높지 않다.
IFEZ는 토지 보상비로 사용할 외자 유치가 불가능할 경우 총 사업부지 54.5㎦ 중 토지 부분 24.4㎦를 사업 부지에서 제외하고, 공유수면 30.1㎦만 매립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이 경우 수년 간 토지 보상을 기다려온 주민의 찬반 논란과 보상 백지화에 따른 반발 등도 우려된다.
IFEZ의 한 관계자는“사업 추진 초기와 현재의 주변 상황이 너무 달라져 정상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일부 사업계획 변경이 불가피하다”며 “그러나 기존 주민 약속과 사업 계획을 최대한 유지해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