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경전철 사업과 관련, 경기도에 긴급 SOS를 쳤다.
시는 지난 21일 도청에 최승대 부시장 등을 보내 지방채 발행 계획 등에 대해 협의를 요청한 것으로 24일 전해졌다.
최 부시장은 김성렬 행정부지사와의 면담에서 지난 4일 국제중재법원이 지급 결정한 경전철 공사비 5천159억원을 지방채 발행과 일반회계 예산편성, 분할 납부 등의 3가지 방식으로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방채 2천억원과 일반회계 예산 1천억원 등 모두 3천억원을 내년에 조달해 지급한 뒤 나머지 1천159억원은 원리금 균등상환으로 30년 동안 나눠 갚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시는 1일 경전철 승객 수요를 15만여명으로 설정하고, 개통 후 승객이 이 예상치의 90%를 밑돌 경우, 시행사의 적자 분을 시가 보전해 준다는 최소수입보장(MRG) 협약도 바꾸는 방안을 용인경전철㈜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시는 용인경전철㈜이 경전철을 운행하면서 거둬들이는 요금 수입에서 투자비 원금 이자와 인건비 등을 뺀 차액을 보전하는 방식으로 협약 변경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내년도 시의 지방채 발행 한도액은 733억원에 불과해 3배에 이르는 지방채를 발행하려면 도의 협의와 행정안전부의 승인이 필요하다. 또 공사비 일부를 용인경전철㈜에 지급하고, 협약 내용까지 변경하게 되면 사실상 용인경전철 사업은 민자(60%↑)사업이 아닌 시 예산으로 하는 재정사업으로 전환돼 이에 대한 정부 심의도 다시 거쳐야 한다.
도 관계자는 “용인경전철의 실타래를 풀기 위해서는 도와 정부의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용인= 강한수·이호준기자 hoju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