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몰려와 도내 400명 육박… 쉼터는 절반도 수용 못해 은행 자동화코너·건물 화장실 전전 각종 범죄 무방비 노출
서울역 노숙인 추방 등으로 인해 경기도 내 노숙인 수가 7개월 사이에 120여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내 노숙인 쉼터는 지난 2000년 이후 9개소에서 단 한곳도 늘지 않아 노숙인들의 절반도 채 수용하지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가 노숙인상담센터 상담건수를 토대로 파악한 경기지역 노숙인 수는 지난 2월 278명에서 9월말 현재 391명으로 113명(70%)이나 늘어났다.
실제 노숙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같이 도내 노숙인이 증가한 이유는 지속되는 경기불황에 최근 서울역에서 노숙인을 강제 퇴거시키면서 상당수 노숙인들이 도내로 이동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도내 노숙인 쉼터는 수원 5곳, 성남 2곳, 안양과 부천 각 1곳 등 모두 9곳으로 노숙인들의 증가세에도 불구 지난 2000년 이후 10여년간 단 한곳도 늘지 않았다.
이들 노숙인 쉼터의 수용인원 역시 193명에 불과, 200여명에 달하는 노숙인들이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자 쉼터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노숙인들이 날씨가 추워지면서 은행 자동화 코너나 대형건물 화장실 등을 전전, 각종 범죄에 노출되고 있다.
더욱이 도내 여성전용 노숙인 쉼터는 전무, 여성 노숙인들이 성범죄 피해를 입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수원역에서 만난 노숙인 A씨는 “앞으로 닥쳐올 추위를 피할 곳을 찾고 있지만 일을 해서 돈을 벌라고 하는 쉼터가 마음 편히 쉴 곳은 못된다”면서도 “당장 길에서 얼어 죽는 것보다야 낫겠지만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 굳이 가려고들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도내 한 노숙인 쉼터 관계자는 “본격적으로 추위가 시작되면 쉼터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노숙인들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도의 예산 상황이 좋지 못해 올해 노숙인에 대한 예산 역시 예년과 같이 동결됐다”라며 “이 때문에 노숙인에 대한 귀농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노숙인자활근로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영국기자 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