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플로어볼
실내에서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스틱’과 ‘공’을 이용해 펼치는 ‘플로어볼’은 ‘하키’를 모태로 고안된 ‘뉴스포츠’ 종목이다.
1950년대 미국의 어린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놀이기구에서 처음 시작된 이후 점차 게임의 형태로 발전, 미국과 캐나다 등으로 보급이 확대되면서 정식 시합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 현재는 세계 52개 국가에 등록선수만 28만여명에 달할 만큼 ‘대중스포츠’로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플로어볼’의 가장 큰 특징은 ‘안전하다’는 점이다.
플로어볼에 사용되는 공은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으며, 26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때문에 날아갈 때 스피드가 줄어들어 골키퍼가 장갑없이 잡을 수 있을 만큼 안전하다.
여기에 ‘스틱’ 역시 가볍고 부드러워 여성이나 어린이들도 쉽게 다룰 수 있다. 또 아이스하키와 같이 ‘보디체킹’이 없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 없이 즐길 수 있다.
전·후반으로 나눠 진행되는 경기는 일반 구기종목과 같이 상대팀보다 더 많은 골을 넣은 팀이 승리하는 방식이다. 공간의 크기에 따라 5:5, 4:4, 3:3으로 인원수를 조정해서 즐길 수 있으며 ‘보디 체킹’이 절대 허용되지 않는 만큼 어린이나 여성, 혼성팀을 구성해서도 경기가 가능하다.
단, 경기 규칙을 어기는 선수에게는 2분간 경기에 참여할 수 없도록 패널티가 부과되기도 한다.
유권재 한국뉴스포츠협회 전무이사는 “무거운 스틱과 공을 사용하는 하키에 비해 부담없이 즐길 수 있으면서도 운동량은 못지 않은 종목이 플로어볼이다”라며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즐기는 것이 가능한 만큼 동호회 등을 중심으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