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公 요금소 설치 강행에 속수무책… 인천시민 요금부담 ‘반발’ 확산
한국도로공사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장수IC와 서창JCT 간 도로를 유료화하는 것을 두고 지역사회에서 강하게 반발(본보 2월7일 자 1면)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가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1일 시 등에 따르면 도로공사는 최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상습 정체 해소를 위해 장수IC를 폐쇄한 뒤 2천927억 원을 들여 장수IC에서 영동고속도로 서창JCT까지 3.58㎞ 구간을 4차로 고가도로로 연결하고 톨게이트(요금소)를 설치, 교통량을 37% 줄일 계획이다.
이 같은 계획에 시는 지난해 말 유료화 계획에 대한 반대 의견을 비롯해 장수택지지구 통과구간 이격거리 조정, 인천대공원 밖으로 노선변경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국토해양부와 도로공사는 이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채 다음 달 중 사전환경성 검토 주민 공람 및 주민설명회를 열고 연말까지 기본설계를 끝낼 방침이다.
시는 지난달 국토부를 방문해 ‘유료화 계획 등에 대한 대안이 미흡한 상태에서 설명회 추진은 어렵다’는 의견을 전달했지만, ‘절차이행이 불가피하다’는 입장만 확인하는데 그치는 등 도로공사의 사업 추진에 속수무책이다.
특히 도로공사가 남동공단 근로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남동IC에도 영업소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도로공사의 각종 도로 유료화 정책에 맞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개통 43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유료인 제1경인고속도로를 비롯해 인천에서 고속도로에 진입하는 모든 차량이 이용 거리에 상관없이 요금을 내는 불이익과 인천지역 근로자들에게까지 요금 부담이 지워지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당시 시의회와 해당 지역 구의회에서도 ‘유료화 반대 및 노선 조정’이 필요하다는 뜻을 도로공사에 전달했지만, 도로공사는 어쩔 수 없다는 말만 반복해 우리도 난감하다”면서 “지역 국회의원 등을 통해 유료화 반대 의견을 전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