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시장 공약사항”… ‘주민 선택권 무시’ 논란일 듯
인천시가 시민 1천 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로 50여만 명을 대상으로 한 수돗물 불소화 사업 추진을 강행키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1일 시에 따르면 2일 오후 중회의실에서 부산대 산학협력단이 지난 8월 말부터 2개월여 간 남동정수장 급수지역 주민 중 1천 명을 대상으로 수돗물에 불소를 넣는 것에 대한 찬반 여론조사 결과 보고회를 한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 찬성이 58.7%, 반대 28.6%, 유보 및 보류의견이 12.7%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시는 시범적으로 남동정수장에 불소 첨가기를 설치해 급수지역 전 주민을 대상으로 수돗물에 불소를 넣는 한편, 남동 정수장 급수지역과 다른 정수장 급수지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구강 실태조사 및 불소 효과 등을 비교 분석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 같은 시의 방침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고작 1천여 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남동정수장을 이용하는 급수지역 중·동·남·남동·연수·부평구 등 6개 구 34개 동 주민 56만 5천여 명 모두가 불소가 함유된 수돗물을 마셔야 하기 때문이다.
시가 적은 수의 표본으로 설문조사를 해 놓고, 이를 전체 주민에게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수돗물 불소화가 과학적으로 유해성이나 충치 예방 효과 등이 검증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시가 불소화 사업에 대한 장·단점을 알리고 나서 주민 의견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반면, 지난 7월 인천소비자단체협의회가 시민 1천739명을 대상으로 한 불소화 사업 설문조사 결과는 ‘아직 시행하기엔 이르다’가 35.6%, ‘시행하지 말아야 한다’가 24%, ‘지금 바로 시행해야 한다’는 18.3% 등으로 조사돼 이번 시의 조사결과와 상반된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수돗물 불소화는 시장의 공약사항으로 이미 시민들의 사업 찬성 의견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고, 정부도 적극 사업시행을 권고하고 있다”며 “이번에 남동정수장 급수지역 시범 시행을 통해 지난 16년간 찬·반으로 나뉘어 첨예하게 대립해온 수돗물 불소화에 대한 실효성 여부를 명확히 따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