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울수록 밤잠 설친다” 입증

수면 시간 같아도 더 자주 깨

연인 없이 혼자 지내는 등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일수록 잠을 푹 못 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시카고 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외로운 감정이 숙면에 어떤 영향을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모두 95명의 시골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들 중 사회적으로고립된 이들은 한 명도 없었다. 즉 외로움을 느끼는 이유가 개인적인 감정 때문이지‘집의 위치가 외진 곳에 있어서’ 등의 환경적 이유는 아니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들의 외로움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심리적으로더 외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밤에 깨는 횟수가 더 잦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자다 깨다를 반복하는 수면을 의학적으로는 ‘분절 수면(Fragmented sleep)’이라고부른다.

그러나 외로움이 이들의 전체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었다. 외로운사람들은 분절 수면 현상을 겪었다 뿐이지 잠을 잔 시간은 일반인과 비슷했다는 것이다.또 밤에 잠을 설쳤다고 낮에 더 졸려 하는 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수면 시간이 같아도 분절 수면을 겪으면 건강에 이상이 생길 확률이높다”면서 “심리적 외로움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연구는 학술지 ‘수면(Sleep)’에 실렸으며 미국 의학뉴스 사이트 헬스데이가 1일보도했다.

[관련기사]

<리얼스틸> 복싱, 그 치명적 유혹에 빠지다

'내가언제?' 기억못하는 '섹스몽유병' 늘어

술자리에서딸기 주스 마시면 위 보호

노인,밤잠-낮잠 늘면 위험신호

평소외로움 느끼는 사람이 아이폰 더 좋아해?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