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서식지 파괴 우려로 반대 불구 시설 용량 더 늘려 ‘분통’ 市, “시 현실 외면하는 처사… 향후 관련 인허가 절차 진행 안할 수도”
정부가 천연기념물 서식지 파괴 우려와 당초보다 2배나 늘어난 시설 용량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장흥문산복합화력발전소 건설 사업(본보 10월 21일자 1면)을 승인하면서 파주시와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3일 지식경제부와 시에 따르면 지경부 전기위원회는 최근 SK계열사인 피엠피㈜가 제출한 장흥문산복합화력발전소 사업승인 신청을 전원개발촉진법에 의거, 승인했다.
전기사업 승인을 받아 발전사업자가 된 피엠피㈜는 이달안으로 전원개발실시계획 계획을 지경부에 추가로 제출할 예정이며, 전기사업법에 따라 허가를 받으면 내년 6월부터 발전소착공에 들어가는 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앞서 피엠피㈜는 지난달 21일 파주읍사무소에서 주민반발속에 설명회를 갖고 관련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지경부 전기위원회가 피엠피㈜를 장흥문산복합화력발전소 발전사업자로 승인한 것이 알려지자, 시와 주민들은 “지경부에 건립 반대입장을 분명히 밝혔는데도 사업승인을 내 준것은 시의 현실을 외면하는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시는 “화력발전소 건립후보지는 천연기념물인 독수리와 저어새, 재두루미 등의 서식지로 UN에서조차 인정하는 지역이어서 건립이 불가능하다고 이미 여려차례 밝혔고, 양주에서 퇴짜맞은 발전소 용량을 파주로 편입해 2배로 늘린 것은 시를 무시하는 처사로 밖에 볼 수 없는 상황”이라며 “향후 관련 인허가 절차를 진행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영한 장문화력발전소건립반대 대책위원장도 “일반인들이 접경지역 근처에서 인허가를 받으려면 온갖 수모와 괄시를 받아도 어려운데, 하물며 국책사업이 환경과 군사시설 피해 등을 무시하고 마음대로 진행되도 되느냐”며 “사업추진에 앞서 주민의견수렴이 먼저”라고 말했다.
한편, 피엠피㈜는 파주읍 봉암리 20만㎡(송전선로 9만여㎡은 별도)에 당초 계획보다 2배 늘어난 900MW급 발전기 2기를 갖춘 LNG복합화력발전소를 오는 2014년 6월까지 건설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파주=김요섭기자 yoseop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