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이외에는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었던 거대 전이성 뇌암에 감마나이프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서울의대 김동규(서울대병원 신경외과)·한정호(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이 1998~2009년 3㎝ 이상의 전이성 뇌암 환자 80명에게 감마나이프 치료를 시행, 생존율과 신경학적 증상 호전 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 생존율이 8개월, 1년 생존율은 39.2%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또 60%의 환자는 4개월 안에 신경학적 증상이 호전됐다.
전이성 뇌암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 발생한 암이 뇌로 전이된 것으로 전체 암환자의 약 20~40% 정도에서 발병하며 주로 암 치료 경과 중 말기에 발생한다. 특히 직경이 3cm을 초과하는 거대 전이성 뇌암은 대부분 편마비나 의식장애 등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여 즉각적인 수술 이외에는 다른 치료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말기 암환자에게 발생하고 환자가 고령일 경우에는 전신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수술의 위험이 높아 치료를 시도하기 어려웠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한정호 교수는 “감마나이프는 머리를 열지 않고 감마선을 쪼여 뇌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이므로 수술보다 환자의 부담을 덜 수 있고 전신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시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방사선종양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Biology·Physics)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