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정책, 실효성 낮은 이유 밝혀졌다

“유전적 흡연자 비율 높아진 탓”

오늘날 흡연자들은 과거와 달리 담배를 끊기 어렵게 만드는 유전자의 영향을 강하게받는 사람들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금연 정책도 이에 따라 바뀌어야 한다고 연구자들은말한다. 

미국 콜로라도 보울더 대학 사회학과의 제이슨 보더맨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쌍둥이들에게 상세한 건강관련 설문조사를 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했다. 쌍둥이는모두 596명으로 유전적으로 동일한 일란성 363명, 유전적 차이가 있는 이란성 233명이었다.

그리고 1960~1980년 이들의 흡연 패턴을 분석했다. 이 기간을 선택한 것은 흡연에대한 사회적 관점이 변화한 기간에 초점을 맞추고 싶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일란성 쌍둥이는 한 쪽이 담배를 끊으면 2년 내에 다른 쪽도 담배를끊는 비율이 65%였다. 이란성 쌍둥이는 이 비율이 55%로 떨어졌다. 이는 유전적 요인이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중요한 차이라고 연구팀의 팸펠 교수는 말했다. 그는 “일란성쌍둥이 한 쪽이 담배를 끊으면 다른 쪽도 끊을 가능성이 높았고, 한 사람이 계속피우면 다른 사람도 그럴 가능성이 높았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와 달리 요즘에는 사교적 목적에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드물다”면서“오늘날의 흡연자는 주위의 비판을 받으면서도 니코틴 의존성 때문에 계속 피우는사람인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늘날의 금연 정책은 실효성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으리란 것이 이번 연구 결과의 의미”라고 덧붙였다. 1970년대미국에서 흡연 제한법이 시행되기 시작한 이후 유전적 흡연자의 비율이 높아지기시작했다고 그는 설명했다.

오늘날 주요한 금연 정책 두 가지는 담배에 세금을 무겁게 매기고 공공 장소에서흡연 가능한 구역을 대폭 줄이는 것이다. 하지만 유전 요인의 비중이 커지는 것을감안하면 이제는 흡연을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중독으로 대해야 할 시기라고 팸펠교수는 말했다. 정책을 이런 방향으로 전환한다면 니코틴 대체 요법과 카운슬링에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 같은 내용은 인구학(Demography) 저널 11월호에 실릴 예정이며 과학논문 사이트유레칼러트에 16일 실렸다.

[관련기사]

금연성공률 두세 배 높이는 방법

카페라테마실 땐 15분 내로 마셔라, 왜?

맥주도 적당히 마시면 와인만큼 좋다

여성의걸음걸이 보면 성생활 알 수 있다

집안공기를깨끗하게 하는 6가지 방법

 

조현욱 기자 (poemloveyou@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