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사회 문제는 “모르는 게 약?”

경제침체 등 어려운 문제 회피 경향 

현대 사회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게 마련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경제나에너지 소비, 환경과 같은 복잡한 문제에 대해 잘 모를수록, 알려고 들지 않는다는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현안들을 모른 채 넘어가려는 경향이 있다는것이다.

캐나다 온타리오 워털루 대학교 스티븐 셰퍼드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모르는게 약’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사회 현안에 접근하는 방법을 이해하려고 진행했다”며“이번 연구 결과는 전문가들이 사회 현안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게끔 사람들을 교육시키는데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0년과 2011년에 미국과 캐나다의 성인 511명을 대상으로 5차례 실시한 연구에서참가자들은 사안을 무시하는 것에서부터 정부가 알아서 처리하겠거니 하고 믿는 것까지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한 연구에서 경기침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정부의경제 운용능력에 도전하는 정보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들은 긍정적인정보는 회피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평균연령 35세인 미국인 197명(여성 111명, 남성 89명)을 대상으로진행되었는데, 이들은 경제에 관한 복잡한 정보를 전달받고 이 같은 문제가 자신들에게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또 다른 연구에서 의존, 신뢰, 기피 등의 연관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경제와 관련된복잡한 정보와 간단한 정보를 평균연령 42세인 캐나다인 58명(여성 38명, 남성 20명)에게제시했다. 복잡한 정보에 접한 사람들은 경기침체에 대해 무기력함을 보였으며, 정부의경제정책을 더욱 신뢰하고 의존하려는 성향을 보였다. 또한 해당 주제에 대해 이해하려는노력은 거의 하지 않았다.

연구팀의 듀크 대학교 애론 C. 케이 박사는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이 심리학적으로자신들의 고민거리를 남에게 맡기는 ‘아웃소싱’을 하는 식이 되어 정부를 더욱신뢰하고 의존하기 때문”이라며 “결국 정부를 무작정 믿기에 아무것도 배우려 하지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면 원유 공급에 대해 알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은 부정적인 정보에 대해서도거부 반응을 보였다. 그들은 미국에서 당장 기름이 부족하다는 긴급한 사태에 관한정보을 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내용을 알려 들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팀은 “사람들을교육시키기 위해서는 큰 재앙이나 종말에 관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보다 지역적이고개인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보다 쉽게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내용은 미국 심리학회의 ‘개성과 사회심리학(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저널 온라인판에 실렸으며, 미국의 과학뉴스 사이트 사이언스데일리가21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원초적본능, 뇌는 왜 누드를 좋아할까

‘터미네이터’콘택트렌즈 곧 나온다

아침형인간으로 변신하는 3가지 팁

오후3시에 졸린다면? 달걀을 먹어라

“한국인4명 중 3명, 위기에 약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