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위·오산·신川 등 하천오염 ‘위험수위’

道보건환경硏, 진위천 수계 중심 수질오염총량제 내년부터 9년간 실시키로

용인시에서 화성, 평택을 잇는 진위천과 동두천 일대를 흐르는 신천, 안양천, 오산천 등 경기도내 도심의 하천오염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수질 개선을 위해 내년부터 오염이 심각한 진위천 수계를 중심으로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수질오염총량제도를 도입, 시행키로 했다.

 

30일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수질오염 실태 파악을 위해 매월 한차례 도내 40개 하천의 113개 지점에서 하천 수질을 측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결과, 평택의 진위천 하류와 동두천 일대를 흐르는 신천, 안성에서 충남 아산까지 흐르는 성환천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8㎎/ℓ 이상을 기록해 하천오염이 가장 심각했다.

 

또, 구리의 왕숙천과 안양천, 안성천, 오산천, 황구지천, 고양의 곡능천 등도 BOD가 5㎎/ℓ 이상~8㎎/ℓ 이하를 기록해 수질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BOD가 5㎎/ℓ 이상이면 상당량의 오염물질 때문에 용존산소가 부족한 상황이며, 8㎎/ℓ 이상이면 다량의 오염물질로 인해 물고기가 살기 어려워 특수한 정수처리가 필요한 수준임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도보건환경연구원은 내년부터 진위천과 오산천, 황구지천을 중심으로 한 진위천 유역에 대해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을 수립,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관리하기로 했다.

 

진위천 수계 수질오염총량제는 진위천 유역 내 개발과 수질 개선을 조화롭게 병행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말 경기도가 환경부로부터 기본계획을 승인받았으며, 2020년까지 9년간 시행될 예정이다.

 

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경기 도심의 하천오염이 심각한 수준으로, 특히 안성천과 진위천, 오산천, 황구지천의 수질오염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라며 “수질오염총량제 실시를 통해 주요지점의 수질과 유량을 파악해 수질 개선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