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나 자녀들 덕분에 만족감 얻어
직장에서 고압적인 상사는 일하는 동안에만 직원을 괴롭히는 것이 아니라 그 직원의가정생활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베일러 대학교 연구팀은 280명의 정규직 직장인과 배우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실시했다. 그 결과 부하직원을 자주 심하게 꾸짖거나 나무라는 고압적인 상사는 부하직원에게스트레스와 긴장감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그들의 배우자와의 관계, 나머지 가족들에게도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그 직원들이 가정을 이룬 배우자와 살았던 기간이 길면 길수록 상사의영향력은 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가 많은 가정은 회사에서 힘들었던직장인들에게 만족감을 더 많이 주기도 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 직원을 다루는 관리직 상사들에게 그들의적대적이고 해악을 끼치는 행동을 용인할 수 없다는 절대적인 메시지를 보내야 할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면서 상사들에게 받는 학대에는 짜증, 무례함, 공개 비난,배려없는 행동 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상사로부터 학대를 받게 되면 긴장된관계가 조성되어 직원들은 덜 움직이려 하고, 집에 돌아가서 배우자나 다른 가족들에게도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려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팀은 기업이나 조직에서는 고압적인 상사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줄이도록 하기 위해 직원들이 상담, 스트레스 관리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내용은 직장인 심리학(Personnel Psychology) 저널 겨울판에 실렸으며미국 건강정보 사이트 헬스데이뉴스가 2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