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후 주인없는 집 ‘급증’

전국 미분양 아파트 2채중 1채…2009년 比 수도권 7%▶36%

전국 미분양 아파트 2채 중 1채가 아파트를 다 지었지만 팔리지 않아 빈집으로 남아있는 ‘준공 후 미분양’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7일 미분양 아파트가 가장 많이 쌓였던 지난 2009년 3월을 기점으로 올해 10월까지 전국 미분양 아파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준공 후 미분양의 비중이 31%에서 49%로 늘었다고 밝혔다.

 

동 기간 전체 미분양 아파트 가구 수는 16만5천여가구에서 6만6천여가구로 대폭 줄었지만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의 비중은 늘어난 것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이 7%에서 36%로 증가했다. 경기도의 전체 준공 후 미분양 가구수는 8천246가구로 용인시(3천213가구)와 고양시(2천149가구)에 쌓인 물량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서울은 1천17가구에 그쳤다. 지방은 준공 전 미분양이 8만7천323가구에서 1만6천158가구로 81% 감소한 반면 준공 후 미분양은 4만9천718가구에서 2만3천203가구로 53%가 소진되는 데 그쳐 준공후 미분양이 준공 전 물량의 가구수를 웃돌았다.

 

부동산써브 나인성 연구원은 “준공 후 미분양이 발생하면 건설사는 공사대금을 회수하지 못해 자금난을 겪는 한편 팔릴 때까지 관리 비용이 들어 부담이 크다”면서“맞춤형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