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원대 경제 효과… 도화구역이냐 검단이냐 ‘핫 이슈’
인천도시공사가 현 사옥을 매각하고 나서 지역 내 구도심으로 이전을 추진키로 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2일 인천시와 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대 이전 뒤 공동화 현상을 빚는 도화구역 일대 등 경기가 침체된 구도심을 살리기 위해 도시공사 청사를 이전키로 했다.
도시공사가 이전하면 건설·자재·인력업체 등 관련 기업과 일부 사무소 등이 따라서 이전할 것으로 예상돼 해당 지역의 사무실 공실률이 떨어지고, 주변 식당가 등 지역경제가 살아나 수조 원대의 경제적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전 규모는 전체 도시공사 직원 380명 중 송도 컨벤시아와 각종 사업 현장 사무소에 파견된 직원들을 제외한 320명이다.
또 기존 청사와 부지를 매각해 나오는 150억원의 현금 등 자산을 확보, 현금 유동성 위기를 겪는 도시공사의 운영비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자금 흐름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인천세무서와 청사를 맞바꾼 뒤 세무서 건물은 매각하고 남는 차액(추정가 30억 원)을 현금으로 받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도시공사 청사 이전지로 유력한 곳은 도화구역이 손꼽힌다.
도화구역 사업과 관련, 공공청사를 건립해 입주한다는 계획이지만 완공 전까지 아직 남아 있는 옛 인천대 건물을 우선 활용할 수 있는데다 구도심 이전의 목적에 가장 들어맞기 때문이다.
특히 올 하반기로 예정된 도화구역 부지 매각에도 큰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곧 착공할 행정타운과 제물포스마트(JS)타운 등과 어우러져 도화구역의 앵커시설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검단신도시 내 신 청사 건립이 추진될 전망이다. 검단신도시 조성사업이 도시공사의 사활이 걸린 사업인 만큼 아예 검단신도시 사업 현장사무소 형태로 활용, 향후 토지나 아파트 분양 등에 활기를 불어넣겠다는 복안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이전 여부가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도시공사 하나만 옮겨도 해당 구도심은 엄청난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이는 구도심을 살리겠다는 굳은 의지”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