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희미해지고 감정적 반응 약해져
심란한 장면을 보거나 정신적 외상을 주는 사건을 겪은 뒤에는 잠을 자지 않는것이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메사추세츠 대학 암허스트 캠퍼스의 신경과학자레베카 스펜서 박사팀의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18~30세의 남성 38명, 여성 68명을 대상으로 끔찍한 교통사고 장면 등이담긴 사진들을 보여준 뒤 그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스스로 평가하게 했다. 연구팀은그로부터 12시간 뒤에 같은 사진을 보여주고 다시 평가하게 했다. 자원자의 절반은이 기간 동안 잠을 잤고 나머지 절반은 잠을 자지 않았다.
그 결과 잠을 잤던 집단은 전날과 동일한 강도의 생생한 감정을 느끼는 것으로나타났다. 반면 자지 않은 집단은 감정 반응이 약해졌을 뿐 아니라 해당 사진을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스펜서 박사는 “잠을 자면 기억 뿐 아니라 감정적 반응도 보존된다는 사실이밝혀졌다”면서 이것이 진화적 관점에서 이치에 맞는 일일 수 있다고 말했다. 원시시대우리의 조상들은 생명이 위험한 상황을 겪은 뒤 그에 대한 부정적 기억과 감정을보존하는 편이 앞으로 그와 비슷한 상황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녀는 “수면이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 기능을 향상시켜준다는 증거는 많다”면서“다만 정말 끔찍한 일을 겪은 뒤에는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우는 것이 이를 잊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상적인 수준의 감정 변화는 잠을 자지않는 근거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이번 연구 결과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가진 사람들이나 법정에서 목격자 증언을 해야 하는 사람들과 관련해 커다란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신경과학 저널(Journal of Neuroscience)’ 최근호에 실렸으며헬스데이 뉴스 등이 18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