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심각하게 안 보고 약물 처방 많아
치과 진료를 받을 때는 치아가 건강한 치과의사일수록 더 믿음이 가고, 자신에게맞는 옷을 고르고 싶으면 패션 감각이 있어 보이는 점원과 얘기하는 게 인지상정아닐까? 그렇다면 같은 이치로 살을 빼고 싶으면 뚱뚱한 의사는 피하는 게 좋지 않을까?이런 심리가 단지 기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음을뒷받침해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학교와 존스홉킨스 의대가 미국의 내과의사 500명을상대로 의사의 체형과 비만에 대한 상담 태도 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 뚱뚱한의사일수록 환자의 비만을 덜 심각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이거나 뚱뚱한의사는 환자의 체중 감량 문제에 대해 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다. 조사 결과비만한 의사 중 환자와 체중 문제로 논의한 경우는 18%에 그쳐 표준 체중을 가진의사의 30%가 상담을 한 것에 크게 못 미쳤다.
의사의 93%는 자신의 체중이 환자보다 가볍거나 같은 수준이라고 생각할 때에만환자에 대해 비만하다고 진단했다. 자신의 체중이 환자보다 더 무겁다고 생각한 의사의7%만이 환자에 대해 비만하다고 진단했다. 즉 의사 자신이 비만하면 환자의 비만이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는 얘기다. 이 같은 결과는 의사의 흡연이 환자들에 대한흡연 관련 조언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도 유사한 것이다. 나아가 의사와 환자간의 관계의 복잡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연구를 이끈 존스홉킨스블룸버그 공중보건학교의 사라 블라히 교수는 “깜짝 놀랄 결과”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비만 퇴치를 환자에게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일방적이라는 논점을제기한다. 전문가들은 의사들이 비만하면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환자들이 의사의 체형을 보고 자신의 비만을 스스로 합리화하려는 태도를 갖게 될것이라고 지적한다.
비만 처방에 대해서도 비만한 의사는 다이어트나 운동 등 생활방식을 바꾸라는조언보다 약물을 처방하는 경우가 표준체중 의사에 비해 26% 대 18%로 더 높았다.또 정상체중 의사의 72%는 환자들에게 자신이 모델이 돼야 한다고 믿는 반면 비만의사는 그렇게 생각하는 경우가 56%에 그쳤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온라인 건강판이 30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