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역방어사령부 이전 수년째 답보 참다 못한 인방사 직접 나선다

실무협의회 구성 등 내부 방침 해군본부에 전달 인천시, 비용 부담 난색 내년 용역결과 따라 결정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 이전 논란이 수년째 제자리 걸음만 하자 참다못한 인방사가 조기 이전 방안 마련을 직접 촉구하고 나섰다.

 

26일 인방사에 따르면 최근 해군과 국방부, 국토해양부, 인천시, 해양경찰 등 인방사 이전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실무협의회를 꾸려 이전에 필요한 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는 내부 방침을 정하고 해군본부 등에 이 같은 방침을 전달했다.

 

인방사는 지난 2009년 7월 관계기관이 모여 인방사 이전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실무협의회를 꾸리기로 했으나 3년이 되도록 협의회 구성조차 못 하고 시간만 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전이 예정된 탓에 건물 신·개축을 할 수 없어 인방사 부대원들은 빗물이 새고 누전위험이 있는 가건물이나 노후건물에서 생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인천대교 개통으로 인천군항 퇴적량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2년마다 50억~100억 원을 들여 준설작업을 해야 하는 데다 준설작업을 하더라도 퇴적량이 워낙 많이 쌓이다 보니 5개 부두 중 2~3곳은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군항 안에 쌓인 퇴적물로 인해 군함이 정상적으로 부두에 닿지 못하고 모래에 걸리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인방사는 인천항로를 가로지르는 인천대교가 전쟁 등으로 무너지면 수도권해역방어 임무에 차질이 우려되는 만큼 애초 예정대로 2015년까지 이전을 마무리 지어 불안요소를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재정난을 겪는 인천시가 인방사 이전 비용 부담에 난색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시는 2009년 협약 당시 중구 북성동 인방사 현 부지를 이양받아 개발한 이익금으로 이전비용(2천600억 원 상당)을 부담하기로 했으나 부동산 경기 침체로 상황이 여의치 않게 되자 재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시는 오는 2013년 8월께 인방사 이전 기본계획수립 용역 결과물이 나오면 더 구체적으로 조사해 결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부동산 경기를 봐서는 시가 인방사 부지를 개발한다고 하더라도 사업성이 불투명해 개발이익금만으로는 이전비용을 충당하기 어렵다”며 “인천대교 주무관청인 국토부나 국방부 등과 다시 협의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