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인데… 부동산 시장 ‘깊은 잠’

각 정당 ‘개발 공약’ 대신 ‘주거복지’ 집중 집값 상승 기대감 꺾여 침체 장기화 우려

선거 전후 부동산 시장이 들썩인다는 공식은 옛말이 되고 있다.

 

4·11 총선에서 부동산 이슈가 사라진데다 각 정당별 부동산 공약은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등 주거복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5일 도내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종전 선거철이 되면 각종 개발공약으로 부동산 시장 역시 들썩였지만, 이번 총선에선 각종 개발공약 등이 자취를 감추면서 부동산 시장이 잠잠하다.

 

각 정당의 부동산 공약을 보면 뉴타운 등 개발 공약보다 전·월세 상한제나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주거복지 측면에 각 정당의 공약이 집중돼 있다.

 

새누리당은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와 기업형 임대사업자 육성, 전·월세 안정, 저소득층 전세자금 이자 부담 경감 등을 골자로 한 공약을 내놓았다.

 

민주통합당의 주요 공약은 전·월세 상한제와 민간임대주택 등록제 도입, 맞춤형 소형주택 공급, 무주택 빈곤층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주택바우처제도 도입, 뉴타운·재개발제도 개혁 등이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모두 개발보다는 복지에 중점을 둔 것이다. 이 때문에 시장도 별다른 반응이 없다. 오히려 시장이 더 위축되는 분위기다.

 

수원의 한 재개발 구역 내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선거철만 되면 돈이 풀리고 부동산시장도 들썩였는데, 이번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는 시장이 오히려 더 얼어붙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부동산 전문가들과 주택건설업계도 이번 선거공약이 시장 활성화보다는 주거복지에 초점이 맞춰진 만큼 시장 침체가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내 주택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DTI 규제 등으로 돈줄이 막힌 가운데 이번 공약에는 굵직한 개발호재도 없다”며 “집값 상승 기대감이 꺾이면서 시장 상황은 더 깊은 침체의 늪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