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소방서가 국내 최초로 체류 외국인들의 안전한 국내생활을 위해 민·관단체 합동으로 종합개선책을 마련해 눈길을 끌고 있다.
22일 광주소방서에 따르면 광주소방서는 지난 2월부터 취업 전 외국인을 대상으로 국내 안전문화 교육을 실시, 문화적 부작용으로 인한 사회문제를 사전 예방하는 ‘안전문화 先교육, 後 현장배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안전문화 先교육, 後 현장배치 시스템’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문화적 차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와 범죄에 노출되는 등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마련했다.
또 광주소방서는 광주경찰서, 광주시보건소, 너른고을광주의제21 실천협의회, 새마을운동 광주시지회와 함께 체류 외국인 안전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 다음달 19일부터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교육 프로그램은 응급처치, 소방안전문화(소방), 교통·범죄피해 예방(경찰), 국내 의료문화, 외국인 의료지원 정책 소개(보건), 국내 환경문화 및 생태보호(환경), 글로벌 코리아 의식개혁(새마을) 등이다.
강의는 국가별 현지 외국인 전문강사 4명을 집중 배치해 현지 외국어로 교육하게 되며 교육자료도 언어별로 번역해 교육생들의 이해를 돕기로 했다.
이종원 광주소방서장은“입국단계부터 교육이 이뤄져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며 “외국인 선 교육, 후 현장배치 시스템이 정책적으로 의무화돼야 문화적 괴리에서 비롯된 사회문제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광주지역에 체류중인 외국인 근로자는 모두 8천49명으로, 중국(조선족)과 필리핀, 태국, 몽골, 베트남 국적이 64.4%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해마다 외국인 근로자가 꾸준히 증가해 외국인 관련 안전사고와 교통사고, 범죄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