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경매시장서 승승장구

낙찰가율 79.55% 기록…수익형 부동산 전환 등 장점

경매시장에서 단독주택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6일 경매정보업체인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경매에 나온 전국 단독주택의 낙찰가율(감정가격 대비 낙찰가격 비율)이 이전 1년보다 2.9%포인트 오른 79.55%를 기록했다.

경매에 올라온 뒤 첫 번째 입찰에서 곧바로 낙찰된 단독주택도 같은 기간 786채에서 882채로 12.2% 늘었다. 경매에 나왔다가 응찰자가 없어 다음번 경매로 넘어간 물건 수는 8천971채에서 7천248채로 19.2%(1천723채) 줄었다. 감정가격보다 더 비싸게 팔린 물건도 1천69채에서 1천150채로 7.5% 많아졌다. 같은 기간 전체 경매 물건 수가 전년 대비 14.7%(2천540채)나 줄었는데도 고가 낙찰 건수가 오히려 늘어났다.

이는 다세대·다가구주택이 수익형 부동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경매시장에서 재평가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답답한 아파트 대신 마당 딸린 단독주택을 선택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점도 작용하고 있다. 실제 포천(낙찰가율 102.8%), 남양주(89.3%), 광주(83.1%) 등 서울 근교 지역의 단독주택 낙찰가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전원주택지로 인기가 높은 양평의 경우 감정가 이상의 고가 낙찰 11건, 첫 번째 입찰에서 낙찰된 물건이 7건을 기록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