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위기극복 시민모임 토론회… 대부분 AG대회 반납 뿐 뾰족한 해법 못 찾아
인천시가 재정위기 극복방안을 마련하고자 지역 시민단체에 SOS를 보냈지만, 시민단체들도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인천시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시민모임’은 21일 인천YWCA 대강당에서 토론회를 열고 재정위기 해법을 논의했다.
22일 예정돼 있는 제2차 인천시 재정위기 간담회를 앞두고 시민단체의 의견을 종합해보자는 취지에서다.
시민단체들이 내놓은 주요 해법은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반납과 인천도시철도 2호선 준공연장이다.
경기장 조성비와 운영비를 포함해 2조5천억원 가량이 들어가는 아시아경기대회를 반납하지 않으면 시가 스스로 재정난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중앙정부 주관으로 추진하거나 서울시와 공동개최하는 방법도 제시됐으나 시민단체들은 공통적으로 대회를 반납할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시는 현실적으로 아시아경기대회 반납은 어렵다고 보고 있다.
경기장 공사를 중단하면 당장 9천억원 상당의 예산을 더 쓰지 않아도 되지만 경기장 건설비용 1조9천억원 가운데 이미 토지 보상비로 8천300억원, 공사비 3천억원 이상을 썼기 때문에 1조2천~3천억원 정도 매몰비용이 발생한다.
또 경기장 공사현장을 그대로 방치할 수만은 없어 덮개공사나 가림막 공사를 하느라 예산을 써야 하고, 경기장 부지 활용도 숙제로 남게 된다. 대외적으로 시의 신임도가 하락하면 UN GCF 유치를 비롯해 투자유치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국, 당장 눈앞의 이익만 계산하다가 장기적인 부채로 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단, 시도 인천도시철도 2호선 준공을 당초 계획대로 2018년으로 연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정부가 2018년까지 지급하기로 돼 있는 국비 지원금을 올해 안에 선지원 하지 않으면 시가 자체적으로 4천억원 상당의 추가비용을 마련하기 어렵고 당장 시급한 현금유동성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보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인천아시아경기대회를 반납하는 것은 매몰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인천시 투자유치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며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