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연륙교 건설, 국토부에 제대로 차였다

국토부, 인천시 ‘협상 카드’ 모두 거부…다음 정권으로 넘어갈 듯

인천 청라국제도시와 영종도를 잇는 제3연륙교 건설 문제 해결이 결국 다음 정권으로 넘어갈 전망이다.

인천시가 제3연륙교 조기 착공을 위해 국토해양부에 제시했던 모든 협상 카드가 거부 당하면서 올해 안 해결이 사실상 불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22일 시에 따르면 국토부와 민간사업자인 인천대교㈜, 신공항하이웨이㈜ 등과 제3연륙교 건설을 놓고 협상을 벌이는 과정에서 시가 손실보전금(추정 1조2천억원~2조2천억원)을 부담하는 대신 제3연륙교 통행료 수익금을 전액을 민간사업자에게 보상해주는 방안을 제시했다.

제3연륙교가 건설되면 인천대교와 영종대교 이용객이 감소하는 만큼 제3연육교 통행료(일반인 1천원~6천원,영종 청라주민 무료 )를 걷어 민간사업자의 수익을 보장해 주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손실 보전금 감소를 우려하는 국토부 및 민간사업자와의 거절로 합의에 실패했다.

국토부는 인천시가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선 시공 후 협상’방안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 역시 조기 착공을 희망하고 있지만 ‘선 시공 후 협상”방안을 밀어 붙이는데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제3연륙교 조기 건설이 필요하다는데는 동의하나 국토부의 사전 승인 없이는 어렵다는 입장을 정한 것이다.

송영길 인천시장은 오는 25일 경인아라뱃길 개장 기념식을 찾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제3연륙교 조기 착공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조기 착공을 추진할 방침이지만 연내 해결 가능성은 낮은 실정이다.

이에따라 송 시장은 제3연륙교 건립 문제를 12월 대선에서 여·야 대선주자의 공약사항에 포함시켜 다음 정권에서 해결책을 찾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송 시장은 “국토부는 공급과잉이나 민간사업자 손실보전 등을 이유로 제3연륙교 건설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인천시가 손실보전을 분담하겠다는 제안조차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며 “당장 국토부와 합의를 보기 어렵다면 다음 대권주자의 대선 공약사항으로 제3연륙교 건설을 해결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