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재정위기 단기간 해결 어렵다”

전문가 간담회… “단기채권 발행·엔화 차입 신중해야”

인천지역 지방행정및 전문가들은 인천시 재정위기는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려우며 지방채 등 단기저리의 금융수단을 활용해 눈앞의 현금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발상은 위험하다고 지적,인천시 대응이 주목된다.

24일 인천시청에서 열린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에서 인하대와 인천대 교수,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 등 지역내 지방행정 및 경제전문가들은 시 재정위기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안했다.

이들은 일단 인천시가 재정위기를 극복하고자 보유자산을 매각하거나 지출을 삭감하는 등의 방안을 내놓은 것은 현 시점에서 최선의 선택이라고 전제했다.

하지만 지방채 및 지방공사채 등 단기저리 금융수단을 활용하겠다는 방침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단기 채권을 발행하거나 엔화를 차입하려는 시도는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지금과 같은 저금리 상태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불확실하고 올해 하반기부터 경기가 조금씩 회복세로 들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만큼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더 체계적으로 자산과 부채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도 했다.

이와 함께 인천도시공사 등 공사·공단 등 공기업의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인천도시공사의 경우 1인당 영업수익(11억4천800만원)이 부산(23억3천300만원), 대구(15억9천700만원), 대전(15억8천300만원)도시공사보다 낮고 총자산 대비 영업수익률도 인천도시공사(5.6%)가 여타 도시공사(62.6%~5.9%)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기업의 기존사업을 재평가해 사업 폐지·축소를 결정하고, 경영합리화 및 통제강화 방안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밖에도 이날 시민원로회의에서도 재정위기 극복방안으로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범시민 대책기구 구성’과 인천도시철도 2호선 2018년 완공,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정부지원 촉구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