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송도 6·8공구 조기 매각 계획이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과의 기반시설 조성 책임 공방으로 차질을 빚고 있다.
24일 시에 따르면 IFEZ으로부터 송도 6·8공구(34만7천36㎡)를 공시지가 4천877억700만원에 넘겨받아 빠르면 다음 달 초 공매 또는 신탁 공매 절차를 밟아 자산을 처분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시는 조기 매각을 위해 인천시의회 제202회 정례회가 시작하기 하루 전인 지난 11일 상임위원회를 열고 송도 6·8공구 땅 이관 내용이 담긴 공유재산관리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을 논의해 12일 1차 본회의에서 안건을 처리할 정도로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시와 IFEZ가 송도 6·8공구 기반시설을 누가 조성해야 하는지 이견을 보이면서 갈등을 빚고 있다.
시는 송도 경제자유구역을 관리하는 IFEZ가 기반시설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IFEZ가 기반 조성을 끝내고 해당 부지를 언제부터 개발할 수 있을지 확실하게 결정해야 매각 공고를 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최근 공식적으로 두 차례나 IFEZ에 기반조성이 언제쯤 마무리되고 매각이 가능할지 답변을 요구했으나 뚜렷한 답변을 듣지 못하고 있다.
반면, IFEZ는 시가 땅을 샀으니 당연히 관리권도 시로 넘어갔고 시가 기반시설을 짓고서 땅을 매각할지, 원형지 그대로 매각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송도 6·8공구가 송도 경제자유구역 내에 있기는 하지만 민간기업에도 원형지의 땅을 매각하고 기반시설을 직접 조성하도록 한 전례가 있는 만큼 IFEZ가 기반시설 조성을 꼭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시와 IFEZ간 줄다리기가 끝날 때까지는 정식 매각 절차를 밟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아무런 기반시설도 없는 땅을 언제부터 개발할 수 있을지도 불분명한 상황에서는 매각하기가 어렵다”며 “요즘 같은 부동산 침체기에 IFEZ 주장대로 민간 사업자에게 원형지 땅을 팔아 도로를 내고 상·하수도, 전기시설을 만들라고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IFEZ 관계자는 “송도 6·8공구에 대한 모든 관리권은 시로 넘어갔으니 기반시설을 하는 것도 시의 몫”이라며 “땅의 소유주인 시가 원형지 상태의 땅을 매각할지, 기반시설을 다 한 뒤에 매각할지 결정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